인터넷대출 부담 커진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인터넷으로 대출 신청을 하면 바로 돈을 입금해 주는 인터넷 소액대출의 실질 이자 부담이 크게 늘어난다. 은행에 내는 대출이자는 같지만 서울보증보험의 보증보험 수수료가 2배로 뛰기 때문이다. 인터넷 대출을 아예 중단한 금융기관도 잇따르고 있다.

인터넷 대출의 보증을 맡은 서울보증보험은 보증료를 대출금의 1.8%에서 3.6∼3.7%로 올리겠다고 각 금융기관에 통보했다고 3일 밝혔다. 휴대전화나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소액대출에 대해서도 보증료를 올렸다. 고객들 입장에선 대출금리가 연 2%포인트 정도 높아진 것이나 다름없다.

서울보증 관계자는 "돈을 빌려간 사람들이 갚지 않아 대신 물어준 돈이 보증료 수입의 1백60%를 넘어섰기 때문에 보증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당초 서울보증은 대신 물어주는 돈이 보증료의 85% 정도일 것으로 추산하고 보증료를 정했었다. 이에 따라 고객들은 새로 대출을 받거나 기존 대출의 만기가 돌아와 연장할 때 인상된 보증료를 내야 한다.

그동안 서울보증에서 보증을 받아 나간 인터넷 대출과 통신 고객 대출의 잔액은 4천억원에 달한다.

인터넷 대출 등은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등에 비해 금리가 약간 낮기 때문에 서민들의 급전대출 수단으로 인기를 끌어왔다. 그러나 금융기관의 대출정보 공유 범위가 확대되면서 여러 군데에서 소액대출을 받거나 신용카드 현금서비스를 이용해 대출을 돌려막는 게 곤란해지자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다.

보증료가 인상되는 대출상품은 한미은행의 퀵머니론·메가패스론, 서울은행의 천리안대출과 서울·국민은행이 함께 취급하는 하나포스론, 011·017고객론 등이다. 서울·한미은행은 보증료 인상에 동의했으며 국민은행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서울보증측은 설명했다.

다만 우리은행의 '따따따론'은 신규 대출이 중단됐으며 기존 대출은 만기가 돌아오면 은행측에서 고객의 신용에 따라 선별적으로 연장해주기로 했다. 현대캐피탈·한솔저축은행도 비슷한 상품을 판매하다가 현재는 중단한 상태다.

서울·한미 등은 소액대출을 계속하더라도 연체를 줄이기 위해 대출심사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보증은 이미 판매되고 있는 인터넷·통신 관련 대출을 제외한 소액 신용대출은 가급적 취급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주정완 기자

jwj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