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분수대

반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냉장고가 없었다고 인류가 한여름 무더위를 마냥 참고 있었던 건 아니다. 이란에서는 BC 4세기부터 야크찰(yakhchal)이라는 원뿔형 저장고가 등장했다. 섭씨 40도가 넘는 사막 한복판에서도 얼음을 먹을 수 있었던 것이다.

중국에선 춘추전국시대부터 한겨울 산과 강에서 얼음을 떼어다 돌집에 보관하는 방법이 사용됐다. 이를 벌빙(伐氷)이라 했는데, 고관 대작들에게만 허용됐으므로 벌빙이란 말이 곧 출세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한국에서도 신라 3대 유리왕(노례왕) 때 이미 얼음을 저장하는 창고(藏氷庫)를 지었다 한다.

고려 이후엔 나라에서 저장한 얼음을 매년 여름마다 관원들에게 나눠줬다. 이것이 반빙(頒氷)이다. 귀한 것이므로 궁중과 종친, 당상관에게 우선 지급됐지만 은퇴한 관리나 장수하는 노인, 활인서에 입원한 환자들의 몫도 있어 사회 복지의 측면도 있었다.

『만기요람』에 따르면 조선시대 한양에는 동빙고와 서빙고가 운영됐다. 서빙고 하나만으로도 약 13만5000정(丁)의 얼음을 보관해 사용했고, 관리의 직급과 업무에 따라 가져갈 수 있는 얼음의 양을 표시한 빙패(氷牌)가 지급됐다. 마패 아닌 빙패로도 위세를 견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중요한 사업이었으니 좋다 나쁘다 말이 나오지 않을 수 없었다. 예종 1년(1469년)에는 얼음을 나누면서 몰래 민간에 내다 파는 일이 있으니 이를 엄하게 단속하라는 왕명이 내려졌다. 성종 때 죄인들에게도 얼음을 나눠주자 당대의 유학자 김종직은 “성상께선 백성의 더위를 염려하여/ 감옥에도 반빙을 허락하셨다(九重尙軫元元熱 更許頒氷岸獄中)”고 선정을 칭송했다. 반면 연산군은 “궁중에서 직물 염색을 하는 데 얼음이 필요하다”며 반빙을 중단시킨 일이 있었다. 3년 뒤에 반정(反正)이 일어난 것도 왠지 우연이 아닐 듯싶다.

최근 정부가 에너지 절약을 이유로 각 관공서의 냉방 온도를 28도, 마트나 백화점은 26도로 규제하면서 ‘덥다’는 반발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예비전력률 저하 등의 사정은 이해하지만, 무작정 냉방 온도만을 높여 감시하기보다는 전체 사업장의 전력 소모량을 규제하는 등 보다 효율적인 방안도 있을 듯하다. 반빙을 해도 모자랄 삼복더위에 더위로 인한 스트레스가 오히려 부작용을 가져오지 않을까 우려된다.

송원섭 JES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