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안동 하회, 경주 양동마을 유네스코 세계유산 됐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1일(한국시간)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제34차 회의에서 ‘한국의 역사마을:하회와 양동’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확정했다. 지난해 조선왕릉 40기가 한꺼번에 등재된 데 이은 경사다. 이로써 한국은 열 번째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WHC는 “가옥과 정자·정사(精舍:학문과 휴식의 공간)·서원 등 전통 건축물의 조화와 배치 방법 및 주거문화가 조선시대의 사회 구조와 독특한 유교적 양반문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며 “오랜 세월 동안 온전하게 지속되고 있는 점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에 손색이 없다”고 밝혔다.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학술적·문화적 성과물, 공동체 놀이, 세시풍속 및 전통 관혼상제 등이 전승되는 점도 높게 평가했다.

세계문화유산에 새로 등재된 경주 양동마을(위)과 안동 하회마을(아래).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한옥과 초가가 주변의 자연 경관과 어우러져 아늑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나뭇가지처럼 큰 길에 작은 길들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집과 집을 잇는다. [신동연 기자], [안동시 제공]

◆자연과 어우러진 조선 전기 씨족마을=하회마을은 풍산 류씨가, 양동마을은 월성 손씨와 여강 이씨가 모인 씨족마을로 학식과 덕망이 높은 인물들을 지속적으로 배출해 조선시대 명망이 높았다. 하회는 물이 마을을 섬처럼 둘러싸는 ‘연화부수(蓮花浮水)’형, 양동은 작은 골짜기가 여럿 나란히 놓인 ‘勿(물)’자형 지형에 자리잡은 풍수 길지다. 마을 내의 길은 자연지형과 물길을 따라 조성됐다. 건축물 역시 지형에 조화돼 자연과 어우러졌다.

15~16세기에 지은 두 마을의 종가를 포함해 하회에 보물로 지정된 가옥이 2건, 양동에는 4건이 있다.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건축물도 하회 9건, 양동 12건으로 조선시대 건축사의 귀중한 자료다. 국보 132호 류성룡의 ‘징비록’(하회마을), 국보 283호인 금속활자본 ‘통감속편’(양동마을) 등 기록유산도 풍부하다. 족보, 마을의 재산과 관련된 문서, 각종 문집, 계약·소송 등에 대한 문서, 관혼상제 관련 문서와 간찰(편지) 등이 남아 있다. ‘하회별신굿탈놀이’(중요무형문화재 제69호) 등 무형유산도 예술적 가치가 높다. 1999년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이 하회마을에 방문해 한국식 생일상을 받으면서 세계인의 이목을 끈 바 있다.

◆‘보류’에서 ‘등재’로=당초 WHC의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두 마을에 대해 ‘보류(refer)’ 의견을 제출했다. 행정구역이 다른 두 마을을 통합 관리하는 체계가 없다는 점을 우려해서다. WHC는 통상 ICOMOS의 의견을 따른다. 그러나 문화재청과 경상북도가 4월 두 마을의 통합 관리체인 ‘역사마을보존협의회’를 구성함으로써 극적으로 등재를 성사시켰다. 문화재청은 “주민들이 대를 이어 삶을 영위하고 있는 살아있는 유산이 세계의 인정을 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글=이경희 기자
사진=신동연 기자

◆세계유산=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가 1972년 채택한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전 인류가 공동으로 보존하고 후세에 전수해야 할 탁월한 가치가 있다고 인정한 유산. 문화유산·자연유산·복합유산으로 구분된다. 전 세계적으로 890여 건의 세계유산이 등재됐으며, 제34차 회의에서 총 39건을 심사해 추가 등재 여부를 결정한다.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①석굴암·불국사(1995) ②해인사 장경판전(1995)

③종묘(1995) ④창덕궁(1997) ⑤수원 화성(1997)

⑥경주역사유적지구(2000)

⑦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2000)

⑧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2007)

⑨조선왕릉(2009)

⑩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2010)

※괄호 안은 등재 연도, ⑧은 자연유산, 나머지는 문화유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