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사 평양공연 뒷거래 의혹 제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북한에 대한 퍼주기 논란은 KBS에 대한 문광위 국감에서도 쟁점으로 떠올랐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지난 16∼22일 있었던 KBS교향악단 평양공연 등 남북 방송교류와 관련한 뒷거래 의혹을 집중 제기했다.

이윤성(李允盛)의원은 "KBS가 남북 교향악단 연주회에 45만달러, '세계문화유산 고인돌' 프로 제작에 30만달러를, MBC는 가수 이미자씨의 평양공연에 대한 대가로 60만달러와 컬러TV 5천대를 지급하는 등 공영방송사들이 수십억원씩 들여 앞다퉈 방송교류에 나서고 있다"며 "다른 대가나 협찬 지불은 없었느냐"고 추궁했다.

신영균(申榮均)의원은 "KBS가 교향악단의 평양공연 예산으로 통일부로부터 45만달러를 승인받고 실제론 1백40만달러(약 16억원)를 지출했다"며 "통일부와 논의 없이 승인내용을 변경했다면 남북교류협력법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민주당 이협(李協)·김성호(金成鎬)의원은 "서독 국영방송인 ARD·ZDF가 동·서독 통합에 밑거름이 됐듯이 KBS도 상주특파원 파견, 방송제작 상호지원 등 방송교류를 더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권상(朴權相)KBS사장은 "뒷거래는 없었다"며 "교향악단 평양공연의 표준 제작비는 연주회 비용 45만달러를 포함해 교향악단 동정 취재와 개성 취재 등에 모두 98만달러가 쓰였다"고 답변했다.

朴사장은 "남북관계가 계속되려면 (비용을) 공개하는 게 적절치 않다고 생각해 공개하지 않은 것일 뿐이며 필요하면 비공개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12월 대통령선거와 관련, 편파보도 시비도 일었다.

한나라당 고흥길(高興吉)의원은 "KBS 고위간부가 주변에 이번 대선에선 盧후보가 당선되니 동요 말고 직원들 단속을 철저히 하라고 말했다고 한다"며 "간부가 이런 사고를 갖고 있다면 공정보도는 물건너간 것 아니냐"고 따졌다.

이정민 기자

jml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