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 국적포기, 호적 보고 알았다니…" 네티즌 반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대 총장 재직시절의 판공비 유용.사외이사 겸직 등 도덕성 문제에 더해 아들의 국적포기 사실이 알려지면서 신임 이기준 교육부총리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이 부총리는 6일 오전 라디오 방송에서 "나이가 40 가까이 된 가장으로서의 선택인 만큼 아버지로서 존중해준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네티즌들은 국적포기 사실뿐 아니라 이를 "나중에 호적등본을 떼어보고 알았다"는 부총리의 해명이 더욱 납득하기 어렵다며 반발하고 있다.

네티즌 장광호씨는 중앙일보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어느 누구나 실수도 허물도 있지만 호적으로 보고 나서야 자식의 국적포기를 알게 되었다는 것은 정말 어처구니가 없다"고 지적했다. 교육부 홈페이지에'수신제가도 못하면서 한나라의 교육을?'이란 제목의 글을 올린 이종원씨는 "아들이 미국국적을 가지고 안가지고의 문제가 아니다. 20이 넘은 성인의 판단이고, 그런 문제로 아버지를 매도하는 것도 말이 안된다"면서도 "그걸 나중에 호적등본을 떼보고 알았다니 도대체 가정교육 및 집안가풍이 어떻게 돼있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네티즌 이영환씨는 "자식과 국적이 달라지는 것도 모르고 있었다는 콩가루 집안 가장이 교육부총리라니"라면서 "修身齊家 못하더라고 코드만 합일하면 OK냐? 治國을 잘하겠다"고 야유했다. 포털사이트에 'yang5309'라는 아이디를 쓰는 네티즌도 "수신제가 치국평천하라고 너무나도 잘 알만한 사람이 그것도 교육의 수장이 되려한다는 사람이 정말 너무 철면피"라고 비판했다.

특히 네티즌들은 한 나라 교육행정의 수장에게는 더 큰 도덕성이 요구된다고 보고 있다. '시민'이라는 이름의 네티즌은 "한나라의 대통령보다도 더 중요한 교육의 수장이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한다면 군인이 총없이 전쟁터에 나가는 것과 무엇이 틀리냐"면서 "열린우리당과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이 거의 무너진다"고 토로했다. '대전신인섭'이라는 이름의 네티즌은 "가장 정직하고 깨끗해야 하는 자리가 아이들 교육을 책임지는 교육부총리 아닌가"라며 "이런 자리에 떳떳하지 못한 사람을 임명하는 참여정부는 국민 참여정부인가, 비리.부정 참여정부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처럼 이기준 교육부총리 임명이 참여정부의 인사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실망으로 번지고 있는 가운데 부총리의 자진사퇴가 해법이라는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네티즌 이수영씨는 교육부 홈페이지에'예의염치도 없는 장관'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자신의 도덕성을 안다면 제의가 들어왔을 때 사양했어야 한다"고, 네티즌 최영철씨 역시 '내가 이기준 전 서울대총장이라면 창피해서도 다시는 공직사회에 발을 못들여놓겠다"면서 "당연히 교육부총리 제의가 왔을 때 고사해야 했을 것"이라고 각각 주장했다. 네티즌 김용시씨는 "인사권자가 곧바로 철회하기란 힘이 든다"면서 "본인이 비적합 인물로 낙인 찍힌 이유를 다시한번 되새기로 스스로 물러나기 바란다"고 중앙일보 홈페이지에 의견을 피력했다.

반면 일부에서는 교육부총리로서의 능력을 위주로 이번 사안을 봐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네티즌 안민태씨는 참여연대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그 개인에 대한 과거의 평가보다는 향후 역량을 가늠해보아야 하지 않을까"하고 조심스런 의견을 내놓았다. 또 아들이 미국국적을 선택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비난을 해서는 안된다는 의견도 나온다. 중앙일보 홈페이지에서 네티즌 오전근씨는 "세계 100위 안에 드는 대학도 없으면서 공부도 사는 것도 한국내에서만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게 우스운 거 아닌가"라면 "우리는 세계와 전쟁을 치르고 있다. 이공계 활성화, 대학의 세계화는 더 이상 늦출 수 없다"고 주장했다. 포털사이트에 'idkbj'라는 아이디로 글을 쓴 네티즌은 "다 큰 아들의 선택을 언제까지 아버지가 책임을 져야 하냐"고, 아이디 'susubat'인 네티즌은 "아들이 미국 국적인게 죄인가"라고 각각 반문했다.

그러나'국민'이라는 이름의 네티즌은 "아무리 추진력 있고 능력이 있다고 해도 도덕성이 결여된 능력은 아무 쓸모없는 것"이라면서 "그 가정이 보이고 도덕성이 보이는데 무슨 나라살림을 하겠다고 하시는 건지"라고 반박했다.

한편 청와대는 참여연대같은 시민단체들이 임명철회를 요구하는 등 여론이 악화되는 데 당혹스러워하면서도 비판을 위한 비판은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부총리 장남의 한국 국적 포기에 대해 "청와대 민정팀에서 검증을 하면서 이미 다 체크됐던 사안"이라며 "이 부총리 장남이 한국 국적을 포기한게 마치 나라를 버린 것처럼 다루고 있다"며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 그는 나아가 "글로벌 시대를 맞아 이민을 장려하기 까지 하는데 그게 과연 맞는 것이냐"면서 "병역이나 국적 등의 문제는 이제 좀 넓게 봐야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다른 핵심관계자는 "이 부총리가 어제 정식으로 임명장을 받지 않았느냐"면서 "이제 열심히 일을 하면 되는 것 아니겠느냐. 그의 업무수행 역량으로 평가받기를 바란다"며 일부 언론의 '파헤치기식 보도' 자제를 요청했다.

이와함께 청와대는 시민단체와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홍보와 설득에 나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문재인 시민사회수석은 6,7일 중 교육관련단체와 시민단체 인사들을 집중적으로 만나 이 부총리 임명의 불가피성을 설명하면서 이해와 협조를 요청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뉴스센터.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