未完으로 끝난 '장대환 청문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장대환 총리지명자에 대한 검증이 마무리 안된 상태에서 국회는 오늘 인준안 표결을 해야 한다.'미완의 청문회'를 거친 국회의원들이나 국민 모두 석연치 않은 기분으로 인준 결과를 지켜보게 됐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지명권자인 대통령이 총리지명자를 선정하면서 더욱 면밀한 사전 검증을 거치지 못한 탓이라고 본다. 한번의 인준 거부와 또 한번의 인준 불투명을 초래한 일차적 책임은 지명권자에게 책임이 돌아갈 수밖에 없다. 총리 지명 자체를 깜짝쇼 하듯 국면 전환의 카드로 이용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발생했다고 본다.

또 지나치게 높은 도덕성 잣대를 적용할 경우 과연 그 기준을 통과할 수 있는 인사가 얼마나 될지 문제점으로 남는다. 스트라이크 존이 너무 좁다. 일반인에겐 불법이지만 관행으로 용인되고 총리 인준에는 안되는 기준의 격차를 조정하는 것도 난제다. 산술적으로 비교할 때 장상 전 지명자보다 장대환 지명자 쪽의 문제점이 더 드러난다. 전임자는 대학 총장이었고 후임자는 언론 기업의 경영자라는 점에서 시비의 액수가 크고 재산 규모도 크다. 이런 개별적 고려없이 단순 비교해 인준의 형평성을 맞춰야 할지, 이 또한 심사숙고해야 할 사안이다.

두 지명자는 각자의 분야에서 성취를 이룬 이른바 '성공한 사람들'이다. 우리 사회의 상류층 인물들이다. 그러나 일반인 입장에선 이들의 도덕적 해이가 특히 눈에 두드러진다. 서민들로선 너무나 큰 돈의 행방에 대해 당사자가 아는 게 별로 없고, 세금 문제나 법적인 사항에 대해 몰랐다거나 남에게 미룸으로써 상류층에 값하는 도덕적 책임이 너무 약하는다는 것이 깊은 배신감을 주었을 것이다. 계층 간 위화감을 줄이기 위해서도 상층부의 솔선수범하는 도덕적 책임감이 더 강화돼야 할 것이다.

청문회 질문자의 준비 부족과 태도 또한 개선해야 할 사안이다. 장대환 청문회 경우 10여개의 불법 사례를 적시했지만 청문회가 끝난 뒤에도 의혹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상태다. 상처 내기 청문회가 아닌 도덕성·능력 검증의 청문회를 위한 연구가 더 검토돼야 한다. 이미 우리는 청문회의 좋은 선례를 남겨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위의 여러 문제점을 감안해 국회는 미완의 청문회이나마 끝마무리를 잘하는 현명한 선택을 하기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