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해야 200%… 값하락 불가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7면

개포지구와 같은 택지개발지구인 강동구 고덕지구와 대지조성사업지구인 송파구 둔촌지구 등지의 재건축 추진에도 비상이 걸렸다.

고덕지구는 주공 1~7단지와 시영아파트 등 8개 단지 9천7백30가구, 둔촌지구는 주공1~4단지 5천9백30가구가 재건축을 추진 중인데 조합측은 줄곧 최하 용적률을 2백50%로 주장해 왔다.

하지만 개포가 2백% 이하로 확정된 만큼 그 이상 받기는 사실상 어렵다는 게 서울시의 입장이다. 강동구청 관계자는 "고덕지구의 경우 지구단위계획안만 두 번에 걸쳐 서울시 자문을 받았으나 시가 2백%를 고수하고 있고, 지난 달 첫 자문을 제출한 둔촌지구도 아직 결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크게 다를 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두 지역은 현재 6월말로 예정된 지구단위계획 결정시한을 넘길 것이 확실시된다. 이 경우 재건축을 하기 위해서는 다시 구역 지정을 받아야 해 토대를 닦는 데만 3~4개월 정도가 추가로 소요될 전망이다.

해당지역 조합원들의 반발도 거세다.특히 강남은 분양가가 높고, 시세 상승 가능성이 큰 반면 이들 지역은 강남만 못해 사업성은 더 나빠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덕주공2단지 박원호 총무이사는 "11평형 조합원이 25평형에 무상으로 입주하려면 용적률이 2백50%는 돼야 하는데 2백%로 줄면 평균 추가부담금이 6천만~8천만원 늘어난다"며 "서울시장이 바뀐 이상 2백50%를 관철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매매가 하락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둔촌지구는 최근까지 싼 매물을 중심으로 거래가 많이 됐고, 값도 반짝 올랐다가 이번 발표로 다시 냉랭한 분위기다. 둔촌동 SK선경공인중개사무소 박노장 사장은 "이달 초 4억3천만원이던 둔촌주공2단지 저층 25평형가 4억3천5백만원에 거래가 성사될 뻔 했는데 서울시 발표로 취소됐다"고 말했다.

재건축 안전진단이 까다로워진 점도 재건축 사업의 앞날을 불투명하게 한다. 서울시가 지난 4월부터 재건축 안전진단 평가단을 구성한 뒤 지난 두 달간 안전진단을 신청한 56개 아파트·연립주택단지 중 27곳이 재건축 대신 개·보수해 사용하라는 판정을 받았다.

김용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