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시설물 불편 고치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다섯살짜리와 돌이 안된 아이 둘을 가진 엄마다. 어린이 박물관을 찾기 위해 잠실역을 자주 찾는데 유모차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를 타곤 한다. 한데 그럴 때마다 왜 지하 2층에서 지상으로 바로 올라가지 않고 지하 2층에서 지하 1층, 그리고 다시 지하 1층에서 지상으로 엘리베이터를 갈아타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나야 비장애인이어서 큰 어려움은 없지만, 장애인들의 경우는 다르다. 불편하기 짝이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지하철 역무원에게 왜 바로 연결하지 않고 방향을 바꿔서 갈아타도록 하느냐고 물어봤다. 그랬더니 그는 아래위를 훑어보면서 지하철표는 샀느냐, 장애인도 아니면서 왜 그 엘리베이터를 탔느냐며 오히려 비아냥거렸다. 아니, 아이 둘을 데리고 유모차까지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게 뭐가 잘못됐는가. 물론 이 글은 그 역무원을 나무라기 위해 쓰는 게 아니다.

우리 사회의 곳곳에 있는 장애인용 특수 편의시설들이 모두 비장애인의 시각에서 만들어진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다시 한번 장애인의 시각에서 우리 사회 편의시설들을 바라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김소영·서울 송파구 신천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