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정수도 대안 세 갈래 압축] 주민 반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충청권에서는 그동안 위헌 결정으로 중단된 '신행정수도'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주류를 이루었다. 대안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신행정수도후속대책위가 17일 5대 대안 압축 원칙에 지속 추진 포기를 뜻하는 '헌법재판소 결정 존중' 원칙을 발표한 뒤에도 충청권에서는 물러설 수 없다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김일호 연기군 비상대책위 집행위원장은 "국민 여론을 반전시켜서라도, 절차가 필요하다면 국민투표라도 해서 원안대로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기본 요구"라며 "앞으로 원안 추진을 계속 밀고 나가겠다"고 말했다.

충청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신행정수도 지속 추진 의지를 확실히 보여줘야 한다며 부산하게 움직였다. 대전.충남.충북 등 충청권 418개 시민.사회단체는 이날 오전 대전 충청하나은행 대강당에서 '신행정수도 지속 추진 범충청권 협의회'를 공식으로 발족시켰다. 이들은 "정부가 우선 연기.공주 예정지 2160만평을 매입해 신행정수도 지속 추진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의회의 정식 명칭과 정부의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에 대한 공식입장 등은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이달 중 확정키로 했다.

이에 앞서 충남도 내 여성단체회원 800여명도 지난 16일 연기군 조치원역 광장에서 궐기대회를 열었다. 조춘자 여성단체협의회장은 "행정특별시 등 주민 달래기식 대안을 반대하며 애초 계획대로 신행정수도를 다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건설교통부가 지난 16일 마련한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 대표와의 간담회에서도 참석자 대부분은 "후속 대안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정부는 '신행정수도 후속 대책위'를 '신행정수도 지속 대책위'로 이름을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충청권 일각에서는 헌재 결정을 번복할 수 없으므로 행정특별시 건립 등 현실적 대안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