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황사 피해 대책 급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관측을 시작한 지 40년 만에 최악이라는 황사 때문에 초등학교 문을 닫는 초유의 사태에까지 이르고 사회·경제적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이제 황사는 어쩔 수 없이 참고 견뎌야 하는 봄철 불청객을 넘어 자연 재앙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지경이 됐다. 그런데도 우리 정부는 기상예보와 사후 먼지농도 측정 등 초보적인 대처 외에 종합적인 대응엔 손을 쓰지 못하고 있다.

벌써 올 들어 세번째 황사 피해로 국민이 몸살을 앓으며 공포 증후군까지 나타나고 있다. 22일 새벽 미세먼지 농도가 ㎥당 최고 2천2백66㎍(마이크로그램)으로 국내 환경기준인 70㎍의 32배, 연평균 농도인 60㎍의 37배에 이른다니 공중에서 먼지가루를 퍼붓는 거나 마찬가지다. 미세먼지 속엔 철·망간·니켈 등 중금속과 유해물질도 섞여 있다.

이 때문에 병원·약국마다 눈병이나 기관지염·천식 등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줄을 잇고, 공중 시정거리가 짧아져 국내선이 이틀째 무더기 결항하는 사태로 많은 사람이 불편을 겪었다.

산업 현장에도 불똥이 튀었다. 반도체·전자·정밀기계 업계는 불량제품 발생을 우려해 출입자의 에어샤워 시간을 늘리고 공기정화시설을 총 동원하는 등 먼지와의 전쟁을 벌이고 있다.

2년 전 봄 구제역 파동으로 큰 피해를 보았던 축산농가들도 악몽이 되살아날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당시 구제역 발병 원인은 정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황사를 통해 구제역 병원체가 전파될 가능성이 있어 농민들은 건초더미와 축사를 비닐로 덮고 소독과 청소를 강화하는 등 긴장하고 있다.

더 걱정인 것은 황사가 해마다 악화되고, 올 봄에도 앞으로 대형 황사가 3~4차례나 더 발생하리라는 예보다. 황사 발생을 근본적으로 막는 대책은 중국 사막지대의 생태복원뿐이나 이 사업은 수십년이 걸린다. 우리나라와 중국·일본은 이 사업에 긴밀히 협력키로 합의한 만큼 구체적 실천을 위해 외교력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당장 우리 나름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책도 있어야 한다. 우선 여름철 오존 경보제처럼 '황사 경보제'를 도입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인공위성 자료 등을 활용해 황사 등급을 매기고 이에 따른 국민 행동요령을 미리 전파하면 밤중에 허둥지둥 학교 휴교령을 내리는 식의 어설픈 대처는 피할 수 있지 않겠는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