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혹 쏠리는 아태재단> 끊이지 않는 잡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현 정권 들어 아태평화재단의 전·현직 인사가 각종 로비·비리 의혹에 연루돼 수사로까지 이어진 사건은 모두 4건이다.

1999년 5월 광주지검 특수부는 전 아태재단 후원회 중앙위원으로 있던 김영래(64)씨를 사기 혐의로 구속했다. 金씨는 98년 1월 당시 전남 장흥군청의 金모(64)과장에게서 '국민회의 장흥군수 후보로 공천받게 해주겠다'며 3천만원을 받은 혐의였다.

이어 같은해 7월에는 경기은행 퇴출을 막아달라며 경기은행측으로부터 1억원을 받은 혐의로 이영우(李映雨)전 아태재단 미주지부 이사가 인천지검에 구속됐다.

지난해 12월에는 황용배 전 아태재단 후원회 사무처장이 진승현 게이트에 연루돼 구속되기도 했다. 黃씨는 주가 조작에 대한 금감원 조사를 무마해달라는 부탁과 함께 진승현씨로부터 2억5천만원을 받은 혐의다.

최근에는 아태재단 상임이사인 이수동씨가 역시 금감원 조사 무마 청탁과 관련해 이용호씨로부터 5천만원을 받은 혐의로 특검에 의해 구속돼 수사를 받고 있다.

이 외에도 특히 야당측은 김대중대통령의 차남으로 현 부이사장인 홍업씨를 겨냥해 정치자금 의혹을 제기해 왔다.

이에 대해 아태재단측은 "검찰의 수사를 받은 사건들은 아태재단의 전·현직 인사들이 개인적으로 연루됐을 뿐 재단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해명하고 있다.

아태재단 관계자는 정치자금 의혹에 대해 "97년 대선이 끝나면서 순수한 학술 연구기관으로 위상을 바꿔 한때 60여명이던 직원도 40명으로 줄였고 해외지부도 모두 정리했다"며 "정치자금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94년부터 받은 후원금은 연평균 30억원 남짓으로 다른 연구소에 비해서도 미미한 수준"이라며 "최근에는 후원금이 줄어 월 8천만원 정도 드는 운영비 마련에도 애를 먹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태재단측은 홍업씨가 운영하는 강남 사무실은 "金씨가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재단측으로부터 일체의 인적·물적 지원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승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