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전쟁 두려워하지도, 원하지도 않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국과 일본, 중국의 정상들이 30일 천안함 사건과 관련, “역내 평화와 안정 유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이 문제를 적정하게 대처해 나간다”고 밝혔다.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3개국 정상회의가 폐막된 뒤 이명박 대통령과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일본 총리,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가 채택한 공동언론발표문에서다. 이 대통령이 대표로 읽은 발표문엔 “일본과 중국 정상은 한국과 국제 합동조사단에 의해 수행된 공동조사와 각국의 반응을 매우 중시했다”라는 내용도 담겼다.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은 “공동발표문에 천안함 사태에 대한 공식 언급이 포함된 것 자체가 큰 의미”라며 “공개적으로 북한 관련 언급을 꺼리는 중국은 이번 공동발표문에 천안함이 들어가는 것조차 조심스러워했다”고 소개했다.

이 대통령은 29일 한·일 회담에서 일본의 확고한 지지를 하토야마 총리에게서 약속받았다. 그런 만큼 30일 정상회의는 중국의 협조를 확실히 이끌어 내기 위해 한·일 양국 정상이 총력전을 펴는 자리였다.

이 대통령은 “천안함 때문에 지역 정세가 불안하다는 우려가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며 “우리는 전쟁을 두려워하지도 않지만 전쟁을 원하는 것도 아니다. 전쟁할 생각이 없다”고 했다. 북한과의 관계, 한반도의 불안정과 충돌을 걱정하며 어떤 입장을 취할지 고민 중인 중국에 ‘북한의 책임을 묻는 것은 전쟁이 아닌 궁극적 평화의 길’이란 점을 설명한 것이다.

하토야마 일본 총리는 “군사적 도발은 용납돼선 안 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는 게 당연하다”고 한국 측에 화끈하게 힘을 실어 줬다.

반면 중국 원 총리의 반응은 여전히 복합적이었다. 천안함 관련 대목을 공동발표문에 넣는 데 동의한 원 총리는 정상회의에서 “중국은 책임 있는 국가다. 국제 합동조사단과 각국의 반응을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28일 청와대에서 이 대통령과 만났을 때 한 얘기를 반복한 것이다.

하지만 공동기자회견에선 “천안함 사건으로 인해 긴장된 정세를 점차적으로 변화시켜야 하며, 특히 충돌을 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2박3일에 걸친 방한 기간 중 원 총리의 발언과 태도에 일부 진전이 있었지만, 중국이 한국과 보조를 맞추는 행동을 할지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게 제주 정상회의에서도 확인된 셈이다. 

제주=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