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10년간 9,750만톤 감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세계 39개 주요 철강 생산국들이 공급과잉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생산시설을 줄이기로 합의했다.

철강 생산국들은 18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파리에서 주관한 회의에서 2003년까지 6천5백만t을 감산하는 것을 포함해 앞으로 10년간 총 9천7백50만t을 줄이기로 합의했다. 이는 전세계 생산능력(10억t)의 10%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같이 합의하면서 유럽 국가들은 미국이 수입 철강제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하면 안된다는 조건을 달았다. 그러나 미국은 감산과 관세 부과는 별개 문제라며 덤핑혐의가 있는 수입 철강에 최고 40%의 관세를 물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이번 감산 결정에 대해 세계 철강업계의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지만 일부에서는 감축 이행기간이 길고, 감산 대상이 실제 생산량이 아닌 생산능력이라는 점을 들어 실효성에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생산국들은 철강가격의 추가 하락을 막기 위해 ▶2003년까지 6천5백만t▶2005년까지 9백50만t▶2010년까지 2천3백만t의 생산능력을 줄이기로 결의했다.

국가별 감축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유럽 국가들은 전체 생산능력의 8%(1천3백만t)를 줄일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현재 1억4천만t인 생산능력을 향후 3~4년 안에 2천8백만t 정도 줄일 것이라고 최근 요미우리(讀賣)신문이 보도한 바 있다.

이처럼 각국이 감산에 적극적인 것은 세계적인 공급과잉으로 업체들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세계 철강업계 생산량은 8억4천만t이나 수요는 8억t에 머물 것으로 추산된다.

그 결과 국제 철강가격은 최근 20년 동안 가장 낮은 수준을 맴돌고 있다. 특히 이번 회의를 주도한 미국의 철강업계는 1998년 이후 20개 이상의 업체들이 도산할 정도로 위기를 겪고 있다.

윤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