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시민의식 일단 '합격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지난 10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에서 펼쳐진 개장 행사가 성숙한 시민의식에 힘입어 순조롭게 마무리됐다.

이날 행사는 내년 월드컵 개막식을 미리 치러보는 중요한 연습무대였다.

이에 따라 서울시 등 주최측은 식전 문화행사 진행과 관람객 입.퇴장 등을 개막식 시간대와 동일하게 계획했다. 주변도로 교통 통제나 지하철 단축운행 등도 개막식을 가정해 실시했다.

◇ 돋보인 시민의식=당초 서울시는 6만5천여명이 한꺼번에 귀가길에 오를 경우 지하철역 등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을까 가장 염려했다.

그러나 관람객들은 지하철 역사 내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계단을 막고 에스컬레이터를 한줄로 탑승하도록 한 소방대원과 경찰의 안내를 차분히 따랐다. 지하철역 입구의 인파 속에서도 밀거나 새치기하는 모습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이같은 시민들의 태도 덕분에 지하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은 경기가 끝난 뒤 40여분만에 혼잡이 풀렸다. 당초 서울시는 1시간20분 정도는 지나야 혼잡도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었다.

관람객 대부분은 경기장을 떠날 때 쓰레기를 가져갔다.'문화시민운동 서울시협의회'는 입장시 쓰레기 회수용 장바구니를 무료 배포해 시민들의 노력을 도왔다. 또 경기장 곳곳에서는 자원봉사자 1천2백여명이 좌석 안내 등의 활동을 해 성공적인 행사의 밑거름이 됐다.

서울시 권영규(權寧奎)월드컵추진단장은 "경기 후 1시간이 지나자 장내 쓰레기가 모두 처리될 정도로 훌륭한 시민의식이 발휘됐다"고 말했다.

◇ 드러난 문제점=화장실은 규모가 작고 입구가 좁아 관람객들에게서 가장 큰 원성을 샀다.

대학생 윤승구(26.서울 양천구 신정동)씨는 "좌변기가 막혀 물이 넘치고, 수십분씩 기다려야 할 정도로 시설이 부족해 너무 불편했다"고 말했다.

경기장 주변 버스정류장은 안내시스템이 부족한 데다 노선별 구분이 되지 않아 시민들이 버스를 세워놓고 행선지를 묻느라 우왕좌왕하는 광경도 보였다.

합정역 등 환승역에는 안내요원이 적게 배치돼 혼잡이 심했으며,이날 오후 내내 극심한 정체를 빚은 경기장 외곽의 성산대교.서부간선로 등에 대한 교통대책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김성탁 기자

사진=김성룡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