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회복지관장 36%가 비전문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서울시내 사회복지관 관장 열명 중 네명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없는 '비전문가'인 것으로 밝혀졌다. 복지 서비스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복지관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이들의 전문성을 높이는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8일 서울시의회가 개최한 사회복지관 운영 개선을 위한 토론회에서 시정개발연구원 김경혜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시내 84개 사회복지관 중 35.7%인 30개 복지관의 관장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특히 규모가 작은 복지관의 경우 66.7%가 자격증을 갖고 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총 직원 중 전문가가 차지하는 비율이 80% 이상인 복지관은 전체의 23%에 불과했으며 전문직원 비율이 60% 이하인 곳이 18%였다.

金연구위원은 "관장의 역량에 따라 복지관 운영에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 관장의 사회복지분야 전문성은 매우 중요하다"며 "전문자격증이 없더라도 법인이 관련 법령에 규정된 자격조건에 상응한다고 인정하면 관장으로 임명할 수 있도록 한 현행 기준은 너무 모호하므로 법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金연구위원은 또 "복지관의 부실한 재정 여건과 맞물려 사회복지사에 대한 처우와 근무조건이 열악해 이직률이 높고 우수인력 확보가 어렵다"며 "시 보조금 확충과 인건비 현실화 등의 조치가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사회복지관의 지역적 불균형도 시정돼야 할 점으로 꼽혔다.

시의회 보건사회위 강영원(한나라당)의원은 "종로구에는 사회복지관이 한개도 없고 중.구로.영등포.도봉.마포 등 11개구는 각 1~2개에 불과한 반면 송파구 7개.노원구 9개.강서구 10개 등 지역별 차이가 심하다"며 "형평성을 높여 보다 많은 시민이 혜택을 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김현숙 관장은 "최근 각종 복지기관과 문화기관이 급속히 늘어났기 때문에 중복 투자와 불필요한 지원을 막으려면 사회복지관의 정체성을 재정립해야 한다"며 "구 단위의 종합 지역복지계획을 수립, 다양한 기관이 주민들에게 각기 독특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를 하루 빨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