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항공사 주가 오랜만에 '비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미국 테러사태 이후 세계 증시의 폭락을 주도했던 항공업체의 주가가 다시 꿈틀대기 시작했다.

각국 정부의 항공사에 대한 긴급지원 움직임이 내림폭이 큼에 대한 반발 매수 세력이 들어오도록 물꼬를 터 주었다는 분석이다.

28일(현지 시간)미국 뉴욕시장에서는 주요 항공사의 주가가 일제히 가파르게 오르며 다우지수 및 운송지수의 상승을 주도했다.

컨티넨탈 에어라인이 15.8% 뛰어올랐고 델타가 8%, 노스웨스트는 6.8% 상승했다. 아메리칸 에어라인도 샐러먼 스미스 바니가 모회사인 AMR에 대한 투자등급을 높인 것에 힘입어 6.3% 올랐다.

이에 따라 테러사태 이후 절반 수준으로 처졌던 아멕스(AMEX)항공업 지수는 이날 7.4% 급등했다.

부시 행정부는 최근 항공산업에 대해 1백50억달러(약 20조원)의 자금지원을 결정했으며, 이날 개장에 앞서 항공기 여행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보안강화 계획' 을 발표했다.

일본과 유럽 정부도 항공사의 손실 보전과 재정지원 등을 속속 발표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정부도 지난주 승객 1인당 1.25달러의 전쟁책임보험료 부과 및 10억~15억달러 한도 안의 사고배상 보증을 결정했다. 이에 힘입어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등 국내 항공업체의 주가도 지난주에 나란히 10%씩 올랐다.

삼성증권 김지영 투자정보팀장은 "국내외 항공업체들은 정부의 지원책과 자구계획안으로 일단 지나친 매도 상태는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며 "하지만 앞으로 보험.보안비용 증가와 국제유가 불안 등 넘어야 할 산이 여전히 많다" 고 진단했다.

김용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