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탈북 난민 계속 수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몽골 정부는 국경을 넘어오는 탈북자를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고 뉴욕 타임스가 15일 보도했다.

진디 문크 오르길 몽골 외무장관은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몽골 국경을 넘어오는 탈북자가 중국으로 송환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특히 국경수비대는 탈북자를 중국 당국에 넘기지 말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강조했다. 또 몽골은 탈북자를 받아들이는 나라이며 주로 한국으로 갈 때까지 숙식을 제공하고 있다고 몽골 외무장관은 덧붙였다.

몽골 외무장관이 탈북자 수용과 북한 송환불가 방침을 공식적으로 밝히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몽골 정부는 그러나 탈북자 문제를 비롯해 남북 간에 균형 정책을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몽골은 국경을 제 발로 넘어 오는 탈북자는 받아들이되 탈북자를 수용하기 위한 난민촌 건설은 반대하고 있다. 오르길 외무장관은 "가까운 장래에 몽골 내에 어떤 난민촌도 들어서는 것을 원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 몽골은 이번 가을에 대학생 3명을 평양에 유학보내는 한편 몽골 육군 일개 부대는 한국에서 훈련 중이다.

그러나 타임스는 현재 2만여명의 몽골 근로자가 한국에서 일하고 있는 등 경제적으로 몽골은 북한보다 남한에 기울어져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북한은 5년 전 폐쇄했던 북한대사관을 3개월 전 다시 열었다. 이는 미국이 북한인권법을 통과시킨 뒤 몽골이 탈북자의 중간 기착지가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타임스에 따르면 지난해 100여명의 탈북자가 몽골을 거쳐 남한으로 갔다. 몽골행 탈북자의 루트는 크게 두가지로 알려져 있다. 중국 베이징(北京)을 경유, 양국 국경인 네이멍구(內蒙古)자치주를 거친 다음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또 하나는 중국 동북 3성의 경유지인 하얼빈(哈爾濱)을 통해 울란바토르로 들어가는 것이다.

최원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