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키코로 휘청 … “새 광학코팅 기술에 집중” 오너 뚝심 빛났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1면

김상근 대표이사는 “겁나서”라고 답했다. 상보는 2008년 키코 계약을 이행하느라 48억원을 썼고 대규모 적자를 봤다. 다행히 지난해엔 영업이 상당 부분 정상화됐다. 매출 1030억원, 17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그러곤 환헤지와는 담을 쌓았다.

요즘 상보의 효자 상품은 ‘복합 광학시트’다. TV 액정화면(LCD) 광원(BLU)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이다. BLU는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LCD 패널의 뒷면에서 밝은 빛을 쏴주고 선명한 색상이 나오도록 해준다. 여기엔 보호시트·프리즘시트 등 여러 장의 필름이 겹겹이 들어가는데, 상보는 이를 한 장의 필름으로 해결하는 기술을 LG전자와 함께 개발해냈다. 이 제품 하나로 지난해 3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미 주문이 쌓여 있어 올해 900억원의 매출을 회사는 예상한다.

특히 상보가 기대하고 있는 건 탄소나노튜브(CNT) 투명전극 필름이다. CNT는 지름이 1나노미터(10억분의 1m)로 머리카락의 10만분의 1에 불과하다. 구리보다 전기가 1000배나 잘 통하면서 강철보다 100배나 강하다. 쓰임새가 많아 ‘꿈의 신소재’ ‘21세기 나노 기술의 보석’으로 불린다.

상보는 이 소재를 터치스크린 패널에 곧 적용한다.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 열풍에서 나타나듯 요즘 전자기기 제품은 터치스크린이 대세다. 상보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하면 향후 5년간 1조3000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가 예상된다고 한다. 현재 터치스크린에는 산화인듐주석(ITO) 필름이 사용되고 있는데, 원천특허를 일본 회사가 보유하고 있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거나 기술라이선스를 받아 국내에서 일부 생산하고 있다.

경기도 김포에 있는 상보의 2공장에서 직원들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들어가는 광학 필름을 검사하고 있다. 기존 필름보다 공정에 적용하기 쉽고, 성능도 더 우수하다. [김포=변선구 기자]

터치스크린 패널에 CNT 소재를 적용하는 기술은 한국전기연구원이 개발했다. 2008년 기술 개발 소식에 대기업을 포함해 20여 개 업체가 전기연구원의 기술 이전을 받겠다며 달려들었다. 하지만 전기연구원이 기술 이전 파트너로 선택한 것은 뜻밖에도 중소기업인 상보였다.

한국전기연구원 이건웅 박사(혁신소재연구센터장)는 “당시 대기업을 포함해 여러 업체가 연락해 왔지만 대표이사(CEO)가 직접 뛰어 온 회사는 상보가 유일했다”고 말했다. 중간 실무자나 임원이 하는 것보다 오너가 직접 뛰어다니니 의사결정이 빠를 수밖에 없었고, 이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상보의 코팅 전문기술도 도움이 됐다. 이 박사 팀이 개발한 ‘CNT 투명전극 제조 기술’은 디스플레이 분야의 핵심 소재인 투명전극을 하나의 코팅액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코팅액을 비닐이나 플라스틱 등에 페인트 칠하듯 코팅해 투명한 얇은 막을 만들어 전기를 흐르게 하는 나노기술이다.

상보처럼 인쇄와 코팅으로 잔뼈가 굵은 기업이 제격이었다. CNT 소재가 최종 완성품이 아니라 중간부품인 만큼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에 적당한 아이템이라는 판단도 있었다.

“상보에 기술 이전을 하고 얼마 안 있다가 키코 사태가 터졌습니다. 한때 상보가 어렵다는 소문이 돌아 걱정도 많았지만 성공 보장이 안 되는 신규사업인데도 김 대표의 의지는 한 번도 흔들려본 적이 없었어요. 안정적인 사업군이 있는데도 계속 새 사업에 뛰어드는 것을 보고 감동 받았습니다.”(이건웅 박사)

염료감응 태양전지도 상보가 신수종 사업으로 꼽고 있는 제품이다. 나노 기술과 유기염료를 이용해 고도의 에너지 효율을 갖도록 개발한 차세대 태양전지다. 색을 입힌 투명한 유리가 식물의 광합성 작용처럼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꿔준다. 상보 김칠문 부장은 “햇빛이 약해도 발전효율이 높다는 게 강점”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의 원래 이름은 상보화학이었다. 2003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건물 외벽이나 자동차 유리에 많이 쓰이는 적외선·자외선 차단 필름처럼 친환경 소재도 많이 생산하고 있는데, ‘화학’이라는 이름 탓에 공해산업 아니냐는 오해를 많이 받았기 때문이었다.

2007년 10월 코스닥 상장을 하는 과정에서도 사명이 또 바뀔 뻔했다. “회사 이름이 촌스럽다”는 반응이 나왔다. 코스닥에서 주목 받으려면 ‘○○테크’ 같이 정보기술(IT) 분위기가 좀 나야 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김 대표는 “이름이 아니라 실적이 중요하다”며 움직이지 않았다. 상보가 한눈팔지 않고 33년간 인쇄와 코팅 분야에만 뚝심 있게 파고들 수 있었던 것도 김 대표의 이런 고집 덕분이었다.

그랬던 그가 뒤늦게 사명 변경을 고민 중이다. 겉모습보다 실적이 중요하다는 신념이 바뀐 건 아니다. 인터넷 시대에 상보라는 이름으로 검색하면 ‘상보(자세한 소식)’처럼 다른 뜻으로 뜨는 내용이 너무 많다는 주주들의 불만을 감안해서다.

글=서경호 기자
사진=변선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