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볼고그라드 한인정착촌 국내 재정지원이 관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볼고그라드 한인정착촌은 1990년대 중반 현지 일부 고려인들과 파견 선교사 등을 중심으로 처음 구상됐다.

뿔뿔이 흩어져 난민처럼 어려운 생활을 하는 현지 동포들의 안정적인 생활과 동질성 유지 기반을 마련하자는 취지다.

최근 비로소 구체화된 이 사업계획은 전례가 없던 융자식 해외동포 지원이라는 점에서 특히 성공여부가 주목된다.

그러나 재원(財源)에서부터 정착촌 건설 이후 인프라 조성 등 세부 계획은 여전히 '백지' 상태나 다름없어 험로가 예상된다.

◇ 사업추진 경과=사업 구상은 지난해 말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등 국내 민간.종교단체 등이 참여하면서 힘이 붙었다.

현재 현지 지방정부와 부지 임대협상이 시작되는 등 본격적인 추진이 시작된 상황.

개발 참여 단체들은 현지 동포들이 영세 소작농이 대부분인 점을 감안, 농지를 아주 싸게 공급하는 방식으로 난민처럼 흩어져 있는 동포들을 모을 계획이다.

서경석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집행위원장은 "1만여명 이상이 모여 살려면 최소 2천㏊ 정도의 땅이 필요하다" 며 "현지 정부측도 브이코보 지역 등 네곳의 토지를 제시하는 등 매우 협조적" 이라고 전했다.

◇ 재원이 관건=무엇보다 투자 재원 마련이 문제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측은 사업자금 마련을 위해 농협.신협 등 국내 민간금융기관.기업들을 끌어들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농업기반공사와 금융단체는 물론 산능건설.코모도호텔 등 현지 투자에 관심을 가진 민간 기업인들을 이번 현지 조사단에 참여시켰다. 장차 정부 차원의 지원도 요청할 계획이다.

그러나 국내 기업.금융 기관들이 얼마나 참여할지는 미지수다. 빈곤에 허덕이는 현지 동포들의 상환능력, 그리고 수익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90년대 초 러시아 수교 이후 추진되다 현재 부진상태인 '연해주 개발' 의 전철도 있다.

서경석 위원장은 "일단 싼 값에 땅을 빌려 우리 동포들이 모여 안정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1차 목표" 라며 "영농자금이나 주택자금 등의 융자는 충분한 검토 후 이뤄질 것" 이라고 말했다.

볼고그라드=손민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