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수출액 작년보다 20% 줄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국 경제가 급격히 수축되고 있다. 수출은 부진하고 기업들은 투자를 꺼리며, 그나마 투자 여력이 있는 기업들은 국내를 외면하고 해외로 나가고 있다. 7월 수출액은 올들어 월별로 가장 적을 뿐 아니라 사상 최대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설비투자는 1,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한 가운데 증권거래소 상장기업의 69%가 내년에도 투자를 올해보다 줄이거나 올 수준으로 동결하겠다는 반응을 보여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없다. 이런 판에 그나마 되는 기업들은 여건이 좋지 않은 국내보다 해외투자에 눈을 돌리고 있다.

7월 수출이 1백15억7천만달러로 지난해 7월보다 20% 줄었다. 이같은 감소율은 월별 수출실적을 내기 시작한 1967년 이후 가장 큰 것이다. 올 들어 수출은 3월 부터 다섯달째 감소세를 기록했다.

7월 중 수입(1백11억1천1백만달러)도 지난해 7월보다 18.7% 줄어 98년 11월( - 28.9%) 이후 최대의 감소율을 보였다.

산업자원부는 1일 이같은 7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잠정치)을 발표했다. 산자부는 반도체(증가율 - 63%)와 컴퓨터( - 37%) 등 정보기술(IT)제품의 수출부진이 더욱 심화하고, 미국.일본.유럽연합(EU) 등 주요 시장의 수출이 모두 두자릿수의 감소율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수입도 국내 생산과 설비투자 위축으로 자본재( - 23.8%)와 원자재( - 11.3%)수요가 줄면서 넉달째 두자릿수 감소율이 이어졌다.

차진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