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6·25 전쟁 60년] 60대 교수, 아버지와 함께 갔던 6·25 피란길을 되밟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6·25 당시 아버지가 끄는 손수레에 실려 서울에서 전북 고창까지 갔던 피란길을 되밟는 도보여행에 나선 김태호 광주대 명예교수(맨 앞) 일행이 13일 평택을 지나 천안을 향해 가고 있다. [박종근 기자]

“서울이 위험하니 전쟁이 끝날 때까지 남쪽으로 피란 가자.”

1950년 8월 29일. 당시 여섯 살이었던 김태호(66·광주대 명예교수) 교수의 아버지 김재순(당시 43세·83년 작고)씨가 서울 후암동 집에 가족을 모두 불러 놓고 조심스레 말을 꺼냈다. 6·25가 난 지 두 달, 전황은 악화되고 있었다. 전선이 서울 근교까지 내려왔는지 집에서도 포성이 크게 들렸다. 한낮에도 전투기가 서울 상공을 낮게 비행했다.

다음 날 김 교수의 가족은 취사도구와 옷가지가 가득 실린 리어카를 끌고 고향인 전북 고창군으로 피란길을 떠났다. 고향까지 800여 리의 길이었다. 10남매인 김 교수의 형제 중 당시 서울사범대생이던 큰형을 포함해 먼저 피란 간 3남매를 제외하고 모두 나섰다. 한강다리가 다 폭파된 뒤라 서빙고 나루터에서 배를 타고 강을 건넜다.

어린아이들은 리어카에 타고 갓난아기는 어른의 등에 업혔다. 한여름의 땡볕에 10여 명은 어른·아이 가릴 것 없이 땀에 푹 젖었다. 흙먼지 날리는 길을 따라 남쪽으로 하염없이 걷고 또 걸었다. 몸이 성할 리 없었다. 가족들은 지나치게 많이 자외선을 쪼이고 영양실조가 겹쳐 모두 고도근시가 됐다. 그래도 서로를 독려하며 길을 떠난 지 18일 만에 고향에 도착했다.

그로부터 60년이 지났다. 13일 경기도 평택~천안 1번 국도변을 머리가 희끗희끗한 노인 9명이 걷고 있다. 가슴에는 ‘통일과 번영을 염원하며. 6·25전쟁 60주년 회상의 피란길 800리 걷기’라는 글자가 선명하다. 손에도 같은 글자가 적힌 깃발과 태극기가 들려 있다. 회색의 9인승 승합차 한 대가 비상등을 깜빡이며 이들을 따른다. 김 교수가 피란을 함께 갔던 가족과 함께 2년여의 준비 끝에 떠난 ‘회상의 6·25 피란길’이다. 10일 서울 후암동 삼광초등학교에서 출발해 과천~수원~오산~송탄을 거쳐 이날로 4일째를 맞았다.

“차도를 걸어야 하는 오늘 구간이 제일 위험하니 차조심 합시다.”

앞에 선 김 교수의 말이 끝나기 무섭게 뒤에서 “네, 대장님”이라는 대답이 우렁차게 나온다. 거센 바람에도, 옷깃을 스치듯 쌩쌩 지나가는 차에도 대오는 흐트러짐이 없다. 김 교수는 “달리는 기차를 보면 저 기차가 한반도의 끝까지 쉬지 않고 달리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이번 걷기를 통해 통일을 바라는 마음이 더 커지고 애절해지는 것 같다”고 했다.

이날 행사는 김 교수가 2년 전 가족 연례모임에서 제안했다. “6·25전쟁 60주년을 맞아 당시를 기리고 고생하신 부모님을 추억하자”는 김 교수의 말에 모두 고개를 끄덕였다. 김 교수와 피란을 같이 갔던 남동생 행진(63)씨, 사촌동생 한용(64)씨를 중심으로 아내, 사촌 여동생들이 함께하기로 했다. 직장에 다니느라 바쁜 자녀들은 주말에 참가하기로 했다.

김 교수는 지난해 11월 가족과 함께 답사를 했다. 하루 걷는 거리와 이동 경로, 숙박 예정지, 도로 상황 등을 살폈다. 김 교수의 아내 김혜경(61)씨가 간호를 맡고, 사촌동생의 아내인 이명례(58)씨가 행정 업무를 맡는 등 역할 분담도 했다. 1년 전부터 하루도 거르지 않고 1~2시간 걷는 훈련도 했다. 김 교수는 “60이 넘은 노인들이어서 사고가 나지 않도록 준비를 철저히 했다”며 웃었다.

여정은 60년 전 김 교수의 아버지가 기록해 놓은 피란 코스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서울 용산 후암동 삼광초등학교에서 출발해 천안을 거쳐 공주~부여~논산~김제~부안을 거쳐 24일 고향인 고창군 상하면 고산마을에 도착하는 게 목표다. 총 320㎞에 이르는 대장정으로 하루에 20~25㎞씩 걷고 있다.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점심 먹는 시간을 제외하고 종일 걸어야 한다.

물론 그때와 다른 점도 많다. 피란 짐을 실었던 리어카 역할을 9인승 승합차가 대신하고 있다. 당시는 굶거나 멀건 죽으로 끼니를 때우고 헛간에서 잠을 잤지만 지역의 별미를 맛보고 편안한 숙소에서 잠을 잔다. 옷차림새도 다르다. 다 떨어진 옷과 고무신이 아닌, 빨강, 주황, 보라색 등 색색의 등산점퍼에 새로 산 운동화를 신었다.

당시의 피란길이 ‘고난의 행군’이었다면 회상의 피란길은 ‘가족 축제’다. 피란길 첫날, 삼광초등학교에서의 출발 행사에는 전국에서 일가친척 40여 명이 모였다. 동참하지 못한 이들은 “성공적으로 마치길 기원한다”며 응원했다.

김 교수는 하루 일정이 끝나면 감상문을 사진과 함께 인터넷에 올리고 있다. 함께하지 못한 가족들을 위해서다. 김 교수가 “짐도 없이 맨몸으로 길을 걷는 것도 힘든데, 어린아이와 짐을 들고 피란 간 부모님을 생각하면 눈물이 난다”는 글을 올리자 수십 개의 응원 댓글이 붙었다.

공무원 출신인 김 교수는 광주대에서 교수(행정학)로 근무하다 지난해 정년퇴직했다. 그는 “독일처럼 우리의 통일도 어느 순간에 오지 않을까요. 우리가 지나가는 피란길 곳곳에 통일을 바라는 마음을 가득 심어 놓을 겁니다”고 말했다.

천안=한은화 기자
사진=박종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