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베이징 올림픽에 생각할 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13억 중국인의 염원이 마침내 이뤄졌다.

중국 수도 베이징(北京)이 2008년 여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됨으로써 중국은 아시아에서 일본과 한국에 이어 여름올림픽을 개최하는 세번째 나라가 됐다.

21세기 초강대국으로 새로운 부활을 꿈꾸고 있는 중국에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이 갖는 의미는 각별할 것이다.

중국 국내적으로는 물론이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효과와 파장이 예상된다.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은 중국의 몫이겠지만 정치.경제.문화적으로 중국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우리로서도 베이징 올림픽은 큰 관심을 갖고 지켜볼 사건이자 도전이다.

경제적으로 베이징 올림픽은 오는 11월로 예상되는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가입과 함께 중국의 경제성장과 세계화를 가속하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올림픽 개최 준비를 위해 향후 7년간 2백억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에 따른 올림픽 특수(特需)에 간접적 생산 유발 효과를 감안하면 2008년까지 약 1천억달러의 경제생산 효과가 예상된다는 분석도 있다.

이에 힘입어 1조달러인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2010년 2조달러로 늘어나 세계 제1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한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이미 국제시장에서 중국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우리로서는 중국 경제의 부상이 갖는 긍정적 효과 못지 않게 부정적 측면을 예상하지 않을 수 없다.

막연히 중국의 올림픽 특수에 기대를 걸기에는 중국과의 경쟁관계에 따른 부담이 너무 크다. 장차 미국을 제치고 우리의 최대 교역국으로 떠오를 중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가져갈지에 대해 정부와 업계는 치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중국의 올림픽 개최는 이미 정치.군사 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의 위상을 국제 사회가 공인했다는 의미도 크다. 천안문(天安門)사태의 부정적 이미지 때문에 중국은 1993년 단 두 표 차로 호주에 올림픽 개최지를 내주는 뼈아픈 경험을 했다.

티베트 문제, 파룬궁(法輪功) 탄압, 반체제 인사.언론 탄압 등 인권 및 민주주의와 관련한 각종 우려에도 불구하고 국제 사회가 베이징의 손을 들어준 것은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의 실체를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을 '전략적 경쟁자' 로 보는 미국 부시 행정부조차 그 실체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을 정도로 중국의 위상이 높아진 것이다.

서울 올림픽이 그랬듯이 베이징 올림픽이 중국의 민주화와 인권 개선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우리는 중국의 올림픽 개최가 양안(兩岸)관계와 한반도 정세 등 동북아 질서에도 긍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대만과의 관계가 악화할 경우 베이징 올림픽을 보이콧하는 사태가 있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중국은 대만에 대한 포용정책을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

또 올림픽 개최에 유리한 주변 여건 조성을 위해 남북한 화해.협력에 기여한다는 기존의 한반도 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올림픽 개최가 한반도는 물론이고 동아시아, 나아가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호기가 되기를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