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총무 장관 해임안등 신경전 계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27일 낮 국회 운영위원장실.

<장면1> 총무회담이 끝난 뒤 한나라당 이재오(李在五)총무가 "28일 임동원(林東源)통일.김동신(金東信)국방부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 보고가 있다. 30일 본회의에서 표결처리토록 이만섭(李萬燮)국회의장에게 요구하기로 했다" 고 기자들에게 설명했다.

민주당 이상수(李相洙)총무가 말허리를 자르면서 부인했다. "의장보고는 저절로 되는 것이다. 우리는 아직 합의해 준 게 없다. "

<장면2>

이에 앞서 이재오 총무가 "민주당이 말하는 이른바 '7월 방탄국회' 를 하지 않겠다" 고 하자 이상수 총무가 "좋은 제안" 이라고 맞장구쳤다.

여기다 자민련 이완구 총무까지 "국회법(교섭단체 기준 20석→14석)이 추가경정예산이나 개혁입법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하겠다. 대화로 풀겠다" 고 가세했다.

6월 임시국회 막바지에 여야 총무들은 '요구사항 관철' 과 '민생 이미지 선점' 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협상테이블 위엔 ▶추경예산▶국세청.공정위의 언론사 조사와 북한 상선 영해 침범사태 등 2건의 국정조사▶장관 해임건의안이 올라 있다.

이재오 총무는 해임건의안 표결처리 입장을 굳히고 있다. 반면 이상수 총무는 "숙고 중" 이라고 했다.

그는 2월 이한동 총리 해임건의안 때 선별투표 곤욕을 치르곤 "함부로 표결하면 안되겠다" 고 고개를 내둘렀었다.

국정조사와 추경예산안 처리를 놓고 이재오 총무는 국정조사를, 이상수 총무는 추경 처리를 관철하겠다는 입장이나 합의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이재오 총무는 소속 의원들에게 "정치적 쟁점법안을 제외하곤 웬만하면 빨리 합의해 처리하라" 고 요청했다. 때문인지 25일 재경위 등 4개 상임위에서 법안 6건을, 26일엔 환노위에서 모성보호법을 의결했다.

고정애 기자

사진=장문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