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위 여야 한목소리 "건보공단 직무유기 심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지난해 6월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의보조합을 통합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초대 수장으로 취임한 박태영(朴泰榮)이사장이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에 출석했다.

공단측은 朴이사장이 "1년간 의료대란.노사갈등의 회오리 속에서도 공단운영의 조기 안정화에 애를 많이 썼다" 고 주장했다. 그러나 복지위원들은 朴이사장에게 낙제점에 가까운 점수를 매겼다. 이날 의원들은 여야 없이 "공단 운영에 전면적 재정비가 시급하다" 고 입을 모았다.

한나라당 김홍신(金洪信)의원은 "2000년부터 지난 4월까지 총 49만여건의 부적격자 급여지급 사례가 발생했다" 며 "급여 정지자와 사망자에게도 급여비가 나간 경우가 있어 공단의 직무유기가 심각한 상태" 라고 지적했다.

같은당 박시균(朴是均)의원은 "공단은 내부규정을 고쳐가면서 근속연수를 단축해 수백명을 승진시키고 직원들에게 국고를 마음대로 저리대출해주는 등 공단재정을 물쓰듯 했다" 고 따졌다. 朴의원은 "그럼에도 공단이 복지부의 시정조치를 외면하는 것은 이사장이 물러나야 할 사유가 된다" 고 맹공을 퍼부었다.

김성순(金聖順.민주당).이원형(李源炯.한나라당)의원은 "통합 1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1사(社) 3노조' 라는 국내 유일의 기형적 조직을 유지하고 있어 무늬만 조직통합이란 소리를 듣고 있다" 고 꼬집었다.

손희정(孫希姃.한나라당)의원은 "지난 석달간 진료내역 통보제 운영에 38억원을 투입했는데 부당청구 적발 금액은 1억4천만원에 불과해 오히려 재정 손실요인이 되고 있다" 고 말했다.

朴이사장은 "지역보험료 징수율을 97%로 높이고 독촉 고지 및 장기체납자에 대한 체납처분을 실시하는 등 보험재정 안정화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 고 다짐했다.

김정하 기자

사진=주기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