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북 독일 의사 증언] "북한 소녀 마취없이 수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한때 기근에 시달리던 아프리카 어린이처럼 뼈만 앙상한 어린이들, 핏자국이 화석처럼 굳어버린 1942년 체코산 수술침대, 마취제.링거액.소독약은 물론 씻을 물도 제대로 없는 치료실, 겨울철에는 영하로 내려가는 입원실… .

18일(현지시간) 낮 미 워싱턴의 국회의사당 옆 의원회관 레이번 빌딩 B-339호실. 북한에서 의료활동을 벌였던 독일인 의사 노르베르트 폴러첸(43.사진)이 평양 인근 병원의 모습이라며 틀어놓은 비디오가 돌아가자 실내엔 무거운 침묵이 내려앉았다.

23일로 예정된 미 상원 북한문제 청문회의 예비모임으로 열린 '폴러첸 증언회' 에는 미 상원외교위와 행사를 주최한 연구단체 '디펜스포럼' 의 간부진, '탈북자인권후원회' 를 비롯한 재미교포 운동가들, 국회인권포럼의 김영진(金泳鎭).황우여(黃祐呂)의원, 김상철(金尙哲)변호사 등 탈북난민보호 유엔청원운동본부 관계자, 그리고 취재진 등 1백여명이 참석했다.

웃음도 울음도 잊은 피골상접(皮骨相接) 어린이들의 모습이 화면을 채우자 서울에서 온 청원운동본부의 조안 리(스타커뮤니케이션 대표)씨 등 몇몇 여성은 눈물을 훔쳐냈다.

폴러첸은 독일 민간봉사단체인 '카프 아나무르' 에 소속된 응급의료팀의 팀장으로 99년 7월 북한에 들어가 지난해 말 추방될 때까지 다섯곳의 병원과 두곳의 고아원을 담당하며 의료봉사를 펼쳤던 인물.

그는 화상환자를 위한 피부 기증 대열에 동참하는 등 헌신적인 노력으로 서방인으로서는 최초로 북한 당국의 친선 메달을 받았다.

그는 이를 신분증처럼 사용해 다른 서방인보다 자유롭게 북한의 여러 곳을 돌아다녔고 북한의 참상을 목격했다. 그는 지난해 10월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의 방북을 수행한 서방기자단의 일부를 북한의 이곳저곳에 안내한 행동으로 당국의 눈밖에 나기 시작했다.

그는 북한에서 나온 후 한국.일본.유럽.미국 등에서 북한의 인권 참상을 고발하는 일에 몰두해 왔는데 그의 증언이 곧 미 상원 청문회에 올려진다는 점에서 이날의 모임은 의미가 각별했다.

그는 "북한 간부들은 베이징(北京) 면세점에서 외국 유명브랜드를 사고 평양에서는 벤츠를 타고 다니는 등 호사스런 생활을 하는데 북한 주민들은 강압통치에 시달리고 제대로 먹지 못해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소진됐으며 탄압의 두려움에 사로잡혀 현 상황을 서로 얘기하지도 못하고 있다" 고 증언했다.

폴러첸은 "어린 소녀가 마취제도 없이 맹장염 수술을 받는 것을 보기도 했다" 며 "병원 당국이 '독극물 섭취' 라고 설명한 어린이의 병명이 사실은 극심한 영양실조였다" 고 말했다.

그는 "내가 본 병원에서는 링거병 대신 빈 맥주병, 메스 대신 면도날을 사용했다" 고 말했다. 그는 참상을 찍은 비디오 테이프를 동료의사의 부츠 속에 숨겨 북한 국경을 통과할 수 있었다.

미 상원 외교위(위원장 제시 헬름스)는 23일 폴러첸과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 로버트 갈루치 전 제네바 핵회담 미국 대표 등 관리들이 출석한 가운데 북한문제 청문회를 개최한다.

워싱턴=김진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