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무직, 외환위기 후 10년 새 13.7% 줄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경제위기 이후 중산층의 몰락과 청년실업 등의 문제를 그린 영화 ‘물 좀 주소’. 부도로 사업이 망하고 빚더미에 오른 주인공 창식(이두일)은 추심업자가 되어 힘겨운 생활을 이어간다. [나우필름 제공]

우리 사회의 ‘중산층 붕괴’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계속 심화돼 왔다. 16일 통계청이 내놓은 중산층 감소 발표(최근 6년간 3.4%포인트, 16년간 11.9%포인트 감소)는 그 연장선에 있다. 중산층은 개별 국가의 ‘기초 체력’을 상징한다. 성장 잠재력의 지표다. 같은 시기 중국의 중산층이 확대되는 경향은 그를 방증한다.

반면 일본은 한국보다 더 빠르게 중산층 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중산층의 붕괴가, 중국은 중산층의 확대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셈이다.

중산층의 확대와 축소를 중심으로 한·중·일 사회 변동기를 살펴보는 국제학술대회가 19∼20일 한상진사회이론연구소 주최로 열린다. 서울대 사회학과 한상진 명예교수가 기획하고,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와 동아시아사회학회가 행사를 주관한다. 장소는 서울대 규장각 1층 세미나실이다.

중산층의 위기란 고용과 소득의 불안정이 심화되면서 중간계급이 누려왔던 사회적 지위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중앙대 사회학과 신광영 교수에 따르면, 외환위기 이후 가장 타격을 받은 중산층의 직업군은 사무직과 경영·관리직이다. 97년부터 2007년까지의 시기에 사무직이 13.7%, 경영·관리직이 8.7% 줄었다. 같은 기간 전문·기술직이 2.5%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사무직과 경영·관리직이 큰 폭으로 줄었다.

신 교수는 ‘한국의 중간계급은 위기인가: 1998∼2007 한국노동패널 조사’를 발표한다. 그는 “경제성장의 상징인 중간계급의 몰락이라는 점에서 중산층 붕괴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했다. “2007년까지의 중산층 감소 분석과 요즘 다시 불거지는 중산층 붕괴에 관한 논의는 그 맥락이 동일하다”는 말도 덧붙였다.

일본에서는 중산층이란 용어 대신에 ‘중류’라는 말을 쓴다. 신 교수는 “일본 경제가 고도 성장할 때 ‘1억 총중류 사회’라는 표현이 확산됐는데, 요즘은 ‘격차 사회’ ‘중류 붕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중산층의 확대와 축소에 있어서도 일본에서 변화가 먼저 일어나고, 한국이 뒤를 따르는 양상”이라고 말했다.

리페이린 중국사회학회 회장은 ‘중국 중간계급의 규모·정체성·사회적 태도’를 발표한다. 그는 2006년 자료를 인용하면서 중국 중간계급은 전체 노동인구의 12.1%, 도시 노동인구의 25.4%를 차지한다고 했다. ‘보수주의인가 자유주의인가: 중국 중간계급의 사회정치적 태도에 대한 연구’를 발표할 중국사회과학원의 리춘링 교수는 “중간계급이 노동계급보다 보수적이라거나 자유주의적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고 했다. 보수주의와 자유주의가 혼합된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배영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