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년 공부계획

중앙일보

입력


정가영(경기 성남 송현초 3)양은 새 학년 공부 계획을 세우려고 책상에 앉았다 고민에 빠졌다. 공부할 양도 많아진데다 교과내용도 예전과는 달리 훨씬 복잡하고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새 학년에도 변함없이 우등생이 되겠다는 목표를 세운 정양은 공부계획을 더 체계적으로 세우기로 했다.

공부계획 체계적으로 세워 실천해야

초등 고학년이 되면 학생들마다 과목별로 실력 차가 커지기 시작한다. 창원 웅남초 양정란 교사는 “4학년부터는 교과과정이 저학년때 익혀둔 개념을 응용·심화하는 것으로 바뀐다”며 “이해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뒤처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국어의 경우, 4학년 때부터는 자기 생각을 정리하고 표현할 것을 요구하는 문제가 많아진다. 따라서 어휘력이나 개념이해가 부족한 학생들은 국어를 외국어 공부만큼 어렵게 느낀다. 개념의 이해는 다른 과목을 이해하는데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양 교사는 “국어·수학·영어등 주요 과목은 단기간에 실력을 쌓기 어려우므로 자기 실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찾아 계획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학습계획을 세울 때 주요 과목은 매일 조금씩 공부하도록 해야 한다. 사회나 과학 같은 암기과목은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에듀모아 학습관리팀 남소연 연구원은 “교과서를 미리 읽고, 필요한 자료를 인터넷이나 서적에서 찾아 정리해 학교 수업에 도움이 되도록 예습하라”고 말했다. 고학년 교과서는 삽화나 사진 등이 줄어들고 단어 수준도 높아지기 때문에 참고할 자료를 찾아야 한다. 어휘력은 독서를 통해 실력을 쌓을 수 있다. 남 연구원은 “무조건 한 권씩 읽겠다고 계획을 세우면 다른 계획에 차질이 생기므로 페이지를 나눠 적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계획 작성시 유의사항 잘 지켜야

공부 계획을 세우기 전에 ‘난 미래에 어떤 사람이 되겠다’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적을 필요가 있다. 배우는 과목과 지금 내가 해야 하는 공부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정양은 계획표 제일 위에 “경찰관의 꿈을 향해서!”라는 문구를 크게 적기로 했다. 매일 해야 하는 공부에도 우선순위가 있다. ‘학교숙제’와 ‘지난 학년 복습 문제 풀이’는 모두 중요하다. 그러나 다음날 숙제 검사가 있다면 ‘학교숙제’를, 지난 학년 총정리 시험을 본다면 ‘지난 학년 복습 문제풀이’를 먼저 해야 한다. 해야 할 공부를 모두 적어 리스트를 만들되 순서를 정해 중요한 것부터 먼저 하는 습관을 들인다.

계획표는 세우는 것 뿐 아니라 실천도 중요하다. 자신이 했던 공부를 반성할 수 있고 다음 계획표를 세울 때 참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양은 계획표 옆에 체크를 할 수 있는 칸을 따로 만들어 엄마에게 그날 공부한 것을 확인 받는다. 어머니 권복실(41·경기 성남 분당구)씨는 “당일에 실천하지 못한 것은 다음날 제일 먼저 공부하도록 한다”며 “아이의 학습계획을 확인하는 것은 학습동기를 자극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는 것도 좋다. 아침에 일어나 화장실에 갈 때, 잠들기 전 10분 등 무심코 흘려 보내는 시간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새학년 우등생 되기’라는 목표달성이 훨씬 쉬워진다.

< 송보명 기자 sweetycarol@joongang.co.kr >

< 사진=김진원 기자jwbest7@joongang.co.kr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