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출길 뚫는 열쇠 해외 인증에 눈 돌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선박용 해양 오염방지기를 생산하는 세일세레스㈜는 국내 최초로 기름배출 감시장비를 개발했으나 국제인증이 없어 수출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다 지난해 중기청의 지원을 받아 유럽지역 규격인증인 CE를 받는 데 성공, 유럽지역에 30만달러어치를 수출할 수 있었다. 이 회사는 1월초 현재 90만달러를 수주한 상태다.

디지털 피아노 생산업체인 아이에스뮤직은 지난해 미국의 규격인증인 UL마크를 획득하면서 미주 수출길이 열렸다. 지난해 수출계약액만 1백43만달러에 이른다.

이처럼 해외 규격인증이 수출길을 여는 열쇠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해외 규격인증에 대한 중소기업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인증 없으면 수출도 못한다〓해외인증은 국가나 지역공동체별로 안전.건강.환경 관련 상품에 대해 기술표준을 정하고 이에 적합한 상품에 부여하는 마크의 하나다.

우리나라의 공업규격표준인 KS마크나 디자인 우수 제품에 부여하는 GD마크와 같은 개념이다. 이런 마크가 없을 경우 해당 지역내에서 유통이 어렵기 때문에 해외인증은 사실상 무역장벽의 구실을 한다.

규격인증은 24개국에 54종이 있다. 미국 보험회사들이 세운 비영리 안전검사기구(UL)가 부여하는 UL마크, 유럽연합(EU)내 공동표준규격인 CE, 독일 안전규격 VDE, 일본 공업표준 JIS, 중국 CCIB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식품위생 분야의 HACCP, 환경인증마크인 Eco-Label 등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EU의 경우 기계류, 전기.전자부품, 압력용기 등 안전과 관련한 품목이 CE마크를 받지 못하면 역내에서 유통조차 못하게 한다.

우리 중소기업은 경험과 정보가 부족하고 자금사정이 여의치 않아 이를 취득하기가 쉽지 않다.

중소기업청 기술지도과의 김문환 사무관은 "수출을 하는 2만5천여개 중소기업 중 해외인증을 획득한 업체는 2천개도 안될 것" 이라며 "해외인증이 사실상 비관세 장벽 역할을 하고 있어 인증 때문에 수출을 못하는 피해가 막대하다" 고 말했다.

◇ 높아지는 관심〓중기청은 1998년부터 중소기업의 해외인증 획득을 지원하고 있다.

신청하는 업체와 지원을 받는 업체도 해마다 크게 늘고 있다. 지원대상 업체는 98년 3백79개에서 99년 8백21개, 지난해 1천3백76개로 늘었다. 경쟁률은 평균 2대1 수준이다.

올해는 1백7억원의 예산으로 1천8백여 업체를 지원할 계획이다. 3천개 이상의 업체가 신청할 것으로 중기청 관계자는 내다봤다.

인증을 받으면 수출이 잘 된다. 중기청에 따르면 해외인증을 받은 8백19개 업체가 15억달러의 수출계약을 새로 했다. 업체당 1백80만달러의 성과를 올린 것이다.

◇ 어떻게 신청하나〓2월 15일까지 지방중소기업청에 신청서를 내면 된다.

중소기업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규모가 작은 업체▶기술경쟁력 우수 기업이나 벤처기업▶수출 가능성이 큰 기업▶특허보유업체 등을 우대한다.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업체는 해외인증을 받기 위해 필요한 제품시험 검사.공장심사 준비는 물론 컨설팅 비용까지 포함해 총비용의 70%까지 7백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받을 수 있다. 나머지 30%는 스스로 부담해야 한다.

지원업체로 선정되면 중기청이 인정하는 1백97개 컨설팅 기관 및 업체와 협약을 체결, 인증획득에 필요한 절차 대행과 자문 등을 받아야 한다.

협약체결서를 중기청에 제출하면 지원금의 50%를 선금으로 받고, 나머지는 인증 획득 후 받는다. 드물기는 하지만, 인증획득에 실패하면 지원금을 돌려줘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중기청 기술지원국 홈페이지(http://techno.smba.go.kr) 참조.

이현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