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정운찬 총장 판단이 옳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정운찬 서울대 총장이 국회 교육위의 서울대 국정감사에서 또다시 대학 입시의 자율성을 강조했다. 그는 "학생 선발권을 대학에 전적으로 맡겨 달라. 의원들이 3불(不) 정책(고교등급제.본고사.기여입학제의 금지)을 재검토해 달라"고 말했다.

고교등급제 논란 이후 정 총장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소신 있게 '대학 입시는 대학의 것으로'를 외치고 있다. 등급제를 실시한 대학의 총장들이 정작 꿀 먹은 벙어리처럼 침묵으로 일관하는 것과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이다. 국내에서 경쟁력이 가장 앞서는 대학의 총책임자로서 대학이 선발권을 갖고 학력 경쟁을 통해 우수한 학생을 뽑아야 대학과 국가가 발전한다는 점을 뼈저리게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FT)는 최고의 학생과 최상의 교수진을 중시하는 경쟁주의를 내세운 미국 대학들은 세계 최고가 됐다고 분석했다. 반면에 누구나 대학에 갈 수 있어야 한다는 평등주의 노선을 앞세운 영국 대학들은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고 진단했다. 대학교육에는 선발에서 교육까지 철저한 경쟁과 실력 제일주의가 적용돼야 한다는 점을 잘 말해주고 있다. 한국 대학이 평등주의에 빠져 있는 한 결과는 뻔하다. 점점 세계 경쟁에서 낙후한 대학들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한국 대학은 입시 제도부터 평등주의 일색이다. 마냥 이렇게 갈 수는 없다. 우선 대학이 가르칠 학생을 마음대로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 변별력이 없는 학생부와 수능으로 비슷비슷한 성적의 학생을 골라야 하는 현행 대입 제도에 경쟁의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대학에 고교등급제와 본고사 실시 여부를 일임하고, 기여입학제도의 공론화가 필요하다. 옳은 방향이 뻔히 있는데 정부는 왜 반대 길을 걸으려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