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렬의 시시각각] 반도체 전쟁엔 우방이 없다
이상렬 논설위원 “도대체 경제학 책에서 배우지 못했다. 사회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자본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공산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모르겠다.” 고(故) 이건
-
[정운찬 칼럼] 산업정책의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전 서울대 총장 경제를 시장에만 맡길 것인가, 아니면 정부가 개입해야 하는가? 시장기능이 완전하지 않듯이 국가도 잘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두
-
서울대, 시니어산업 최고위 과정 신입생 모집
서울대학교에서는 다가오는 고령화 사회에 새롭게 대응하고 국내 시니어산업 경영인의 전문성 향상과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2023년 ‘웰에이징·시니어산업 최고위과정’ 제11
-
[정운찬 칼럼] 신뢰의 열매는 하루아침에 열리지 않는다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전 서울대 총장 경제가 흔들린다. 2023년 1월, 새해 첫 달부터 무역적자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경제를 이끌어온 수출이, 또 수출을 주도해온
-
[정운찬 칼럼] 교육개혁, 결국은 ‘사람’이다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전 서울대 총장 최근 윤석열 대통령은 노동개혁·교육개혁·연금개혁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가운데 교육개혁에 대하여 부분적으로나마 몇 가지 의견을 개진
-
[정운찬 칼럼] 신발 끈을 다시 매야 할 때다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전 서울대 총장 2022년 임인년, 호랑이해가 저물고 있다. 박빙의 승부 끝에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지도 7개월째다. 그러나 코로나19의 여진, 러시
-
[정운찬 칼럼] 비전 2048, 건국 100주년의 꿈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전 서울대 총장 2022년 늦가을. 코로나는 아직도 우리의 삶을 압박하고 물가·이자율 그리고 환율이 동시에 크게 올라 국내외 경기 침체가 현실로 나타
-
”대학 생명은 자유” 유홍림, 서울대 총장 최종후보로...자율 예산, 겸직 유연화 추진
“인간은 틀에 맞춰 제작되어 주어진 작업을 하는 기계가 아니라, 사방으로 뻗어 자라나는 나무와 같다. (…) 재능을 가진 사람들은 오직 자유로운 환경 속에서만 마음껏 숨 쉴 수
-
서울대 총장 최종후보에 유홍림 교수 선출
서울대학교 이사회는 24일 제28대 총장 최종 후보로 유홍림(61) 사회과학대 교수를 선출했다. 서울대학교 이사회는 24일 제28대 총장 최종 후보로 유홍림(61) 사회과학대 교
-
머드축제 대박낸 이 남자…30년뒤 '빵빵데이'에 승부 걸었다
■ 지난 6월 1일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자치단체장은 최근 취임 100일이 지났다. 시도지사와 시장·군수·구청장 등 자치단체장은 4년간 펼칠 주요 사업의 틀을 짜고 실행에 옮기고
-
[정운찬 칼럼] 정직만이 살 길이다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 내가 뉴욕의 컬럼비아 대학에서 교수를 할 때다. 한국에서 친구가 하나 찾아왔다. 타임스퀘어를 같이 걷는데 몇 미터 앞에 미국인 둘이 다가왔다. 내 친
-
사회대·경영대·공대 3파전 된 서울대 총장 선거…정책평가 이목 집중된 까닭
서울대학교 신임 총장 후보인 유홍림(61) 사회과학대 교수, 남익현(59) 경영대 교수, 차상균(64)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교수. 사진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총장추천위원회가 신
-
[알림] 변양균·정운찬…오피니언이 더 깊어집니다
변양균(左), 정운찬(右)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내며 ‘노무현의 남자’로 불렸던 변양균(왼쪽 사진) 전 기획예산처 장관(윤석열 대통령 경제고문)이 10월부터 ‘남기
-
[알림] 다채로운 필진, 오피니언 합류합니다
오피니언 국내 일간지 중 가장 넓고 강한 중앙일보 오피니언 지면이 다음 달부터 더욱 깊고 풍성해집니다. 새롭고 다채로운 필진이 새로운 시대의 길잡이로 합류합니다. 변양균 대통
-
이재오 "지지율 10%대→50% 올린 MB…尹, 그때 잘 봐라" [역대 정권 키맨의 尹위기 진단②]
2008년 이명박(MB) 정부는 금융위기와 물가상승, 취임 초 지지율 하락까지 지금의 윤석열 정부와 비슷한 상황을 마주했다. 특히 취임 초 터진 광우병 파동에 지지율이 10%
-
“조순 박사는 우리 시대 진정한 르네상스맨”
지난 달 스승의 날 전후에 『경제학 원론』의 공동저자들이 조순 전 부총리의 서울 봉천동 자택을 방문해 사진을 찍었다. 조 전 부총리와 제자들의 마지막 사진이다. 왼쪽부터 김영식
-
[조순 전 부총리 영전에] 르네상스맨의 부활을 기원하며
지난 달 스승의 날 전후에 『경제학 원론』의 공동저자들이 조순 전 부총리의 서울 봉천동 자택을 방문해 사진을 찍었다. 조 전 부총리와 제자들의 마지막 사진이다. 왼쪽부터 김영식
-
[삶과 추억] 한국 경제학 기틀 다진 흰눈썹의 거목
조순 전 경제부총리가 94세로 별세했다. 고인은 경제학자이면서 관료, 정치인으로 한국 경제 발전에 큰 족적을 남겼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3년 서울 봉천동 자택에서 인터뷰하고
-
尹, 조순 전 부총리 직접 조문했다…한덕수·안철수도 추모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저녁 조순 전 경제부총리의 빈소를 직접 찾아 조문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23일 타계한 조순 전 경제부총리의 빈소를 찾아 조문했
-
민주주의자 예춘호의 정치를 돌아본다
민주주의의 위기가 운위되는 시기에, 고 예춘호 선생의 민주주의자로서의 면모를 재조명하는 행사가 열린다. 예춘호선생추모사업회와 (사)한국사회과학연구회는 2022년 6월 16일 오후
-
그의 칠판은 ‘가장 지적인 예술작품’이었다
나의 스승, 나의 인생 나의 스승, 나의 인생 정운찬 지음 나남출판 고희(古稀·70세)를 훌쩍 넘긴 75세의 제자가 상수(上壽·100세)를 바라보는 올해 94세의 스승을 위해
-
그가 지웠던 스승의 강의 칠판은 "가장 지적인 예술작품"[BOOK]
책표지 나의 스승, 나의 인생 정운찬 지음 나남출판 고희(古稀·70세)를 훌쩍 넘긴 75세의 제자가 상수(上壽·100세)를 바라보는 올해 94세의 스승을 위해 책을 썼
-
국회 못 넘은건 DJ때 장상·장대환뿐…커지는 '한덕수 불가론'
윤석열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가 4월 3일 지명 이후 42일째 국회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10일 ‘1호 결재’로 한덕수 후보자 임명동의안에 서명했지만, 더
-
이영애·유지태·신동엽 다 있네…김건희 인스타 속 '황금 인맥'
팔로워 2만4300명, 팔로잉중인 사람 265명. 여느 인플루언서의 인스타그램(이하 인스타) 계정이 아니다. 한 달 뒤면 공식 ‘영부인’ 직함을 달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