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 남북관계 전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2001년 남북관계의 틀을 짜기 위한 남북 양측의 접촉이 이번주부터 본격화 한다.

지난해 남북 정상회담과 6.15 공동선언으로 탄력을 받았던 남북 교류.협력을 더욱 숙성시키기 위한 터닦기가 시작되는 것.

정부 당국자는 8일 "지난달 말 1차 경제협력추진위원회(평양)에서 남북 양측이 의견을 접근한 추진위 운영과 대북(對北)전력지원, 임진강 공동 수방(水防)대책 등을 문서 형식으로 북측과 교환해 합의를 도출할 계획" 이라며 "우리측 안을 판문점을 통해 이날 북측에 전했다" 고 밝혔다.

북한이 절실히 원하고 있는 전력지원을 협의해 나가면서 이산가족 문제를 풀고, 남북간 사회.문화교류의 폭도 넓힌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특히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答訪)이 초미의 관심사다.

당초 올봄 서울에 오는 것으로 합의됐지만 '상반기 중 방문' 쪽으로 기울어지고 있다는 게 정부 고위 당국자의 설명이다. 정부는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1, 2월에 이산가족 생사.주소확인이 남북 각 1백명씩 실시된다.

또 내달에는 3차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이 잡혀있다. 3월에는 남북 각 3백명씩 서신교환이 이뤄질 예정이어서 이산가족 교류의 폭을 한단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정부와 대한적십자사는 판문점 연락관 접촉을 통해 3차 이산가족 방문단 명단교환 등 실무문제를 협의하고 인선위원회를 열어 대상자도 뽑을 예정이다.

물론 변수도 적지 않다. 지난해 12월 4차 장관급 회담에서 '2001년 초 50만kW' 지원약속을 요구했던 북한이 선(先)전력지원을 내세워 일정을 지연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정부로서는 '햇볕정책의 옥동자(玉童子)' 라고 불리던 현대의 금강산 관광사업이 좌초 위기를 맞고 있는 점도 부담이 될 수 있다.

또 미 공화당 행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북한이 대미(對美)관계를 주시하느라 남북문제에 관심을 돌리기 어려울지 모른다는 예상도 나온다.

여기에다 10일 평양 모란봉극장에서 우리 가수와 예술인들이 참가해 열릴 예정이던 '밀레니엄 통일 신년 음악회' 를 북측이 뚜렷한 이유없이 연기하자 정부는 배경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하지만 통일부 고위 당국자는 "북측이 전례없이 신년 공동사설에서 대남비난을 전혀 하지 않고 6.15공동선언의 이행을 재차 다짐하는 등 분위기는 좋은 편" 이라고 말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