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로찾는 이만섭의장 "사태 유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만섭(李萬燮)국회의장은 28일 "국회에서 벌어진 일련의 사태에 대해 국민과 의원들에게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 는 발표문을 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李의장이 검찰 수뇌부 탄핵안의 사회를 기피, 국회파행을 불러왔다" 며 李의장의 사회권을 거부하고 의장 사퇴 권고안을 내놓았다.

李의장의 발표문은 곧 "사퇴 권고안을 상정.논의하자" (한나라당)와 "간사간 협의부터 하자" (민주당)는 주장이 맞서 국회 운영위로 전해졌다.

정균환(鄭均桓.민주당 총무)위원장은 "李의장이 사과했다" 고 중재했으나 한나라당 원희룡(元喜龍.서울 양천갑)의원은 "30일 본회의에서 의장 사회 문제가 불거질 것" 이라며 "사퇴 권고안을 상정해 가부(可否)간 결론을 내야 한다" 고 반박했다.

그는 발표문 중 '탄핵소추안을 제출한 야당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한다' 는 구절에 대해 "야당이 탄핵소추안을 제출한 게 유감이란 말이냐. 사죄로 보기 어렵다" 고 주장했다.

민주당 임종석(任鍾晳.서울 성동)의원은 "의장의 뜻을 확인한 뒤 간사들이 협의하자" 고 맞섰다.

뒤늦게 李의장이 문제의 구절을 '탄핵안을 야당이 제출했으나 결과적으로 제대로 처리되지 못해 유감' 이라고 고쳤으나 한나라당 간사인 김무성(金武星)의원은 사퇴 권고안의 상정.심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다만 이회창(李會昌)총재가 "의장이 뒤늦게나마 사과한 것을 다행으로 생각한다" 고 밝혀, 한나라당의 유연한 대처를 예고했다.

홍사덕(洪思德.한나라당)부의장은 같은 당 의원 전원에게 "李의장의 말을 계기로 사회권 문제의 매듭을 풀어달라" 는 편지를 보냈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