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룸살롱 3종세트’와 정론직필의 비극

중앙일보

입력

관련사진

photo

신윤복의 작품 <주유청강>(위)과 <청금상련>.

월간중앙 조선 후기 대담한 성풍속화를 그려 당대 ‘점잖이’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던 혜원 신윤복(1758~?)은 비슷한 스토리텔링 구조를 지닌 두 개의 인상적인 그림을 남겼다.

이향상의 色手語筆 | 술자리 풍속도에 관한 고찰

하나는 국보 135호로 지정된 <주유청강(舟遊淸江·맑은 강 뱃놀이)>이고, 다른 하나는 <청금상련(聽琴賞蓮·가야금 들으며 연꽃을 감상함)>이다. 우선 <주유청강>부터 구경하자.

큰 바위절벽 앞에 강이 펼쳐져 있고 놀잇배가 한 척 떠 있다. 왼쪽에서는 젊은 사공 하나가 열심히 노를 젓고, 가운데쯤에서는 악공이 젓대를 분다. 두 사람은 신체가 조금 작게 처리되었는데, 신윤복은 주연급이 아닌 사람을 왜소하게 그리는 습관이 있다.

뱃놀이를 즐기는 주인공은 총 여섯 사람이다. 여자 셋 남자 셋. 이른바 3 대 3이다. 이 그림을 보면서 어떤 ‘센스쟁이’들은 멋진 이야기를 찾아냈다. 가운데 뒷짐 진 수염 난 남자가 입은 도포의 띠는 유난히 희다.

당시 이렇게 흰 띠를 매는 것은 상중(喪中)이라는 의미다. 검은 갓과 흰 옷, 그리고 흰 띠를 맨 경우는 부모 3년상 중 거의 마지막 시기에 해당하는 옷차림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사내는 상주(喪主)생활에 진력나 문득 기생놀이를 나왔다는 이야기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내의 마음을 꿰뚫는 신윤복의 솜씨다. 남녀 3 대 3의 모임에서는 거의 대부분 세 가지 경우가 있다. ‘룸살롱’에 가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고개를 끄덕일지 모른다. 첫째는 ‘껄떡’과(科)다. 안면몰수하고 일단 주무르고 만지고 벗긴다. ‘너희는 서비스녀들이고 나는 손님이니 잔소리 말고 가만히 있어’ 하는 종류다.

그림에서 어깨를 싸 안고 담배 한번 피워보라고 수작을 거는 친구가 바로 이 과의 학생이다. 눈 돌아간 것을 보라. 음흉하며 성급한 기운이 확 끼치지 않는가? 둘째는 ‘딴청’과다. 상중인 사내가 그 유형이다. ‘기분 풀어주겠다고 해서 오기는 왔는데, 내가 이래도 되나?

나는 이런 친구들과 질적으로 좀 다른데 말야…’ 하는 기분으로 제 짝을 놔두고 껄떡이가 노는 꼴이나 지켜본다. 제 짝은 뭐하나? 저쪽에서 생황을 불고 있다. 사내가 숫기가 없어 놀아주지 않으니, 에라, 이거나 불자. 뭐 그런 표정으로 뱃머리에 떨어져 앉아 가슴에 바람 넣어 열심히 불고 있다.

셋째는 ‘순정’과다. 내가 아는 어느 후배 녀석은 술집에서 꼭 제 명함을 내놓으며 다음에 연락하자며 손가락을 건다. 당신은 오래 전부터 기다리던 나의 이상형이라고 예찬을 늘어놓으며 순애보 한 장을 쓴다. 이런 친구들의 짝이 되는 여자는 유난히 예쁘기도 하지만, 내숭 또한 경지에 오른 경우가 많다.

정말 남자라고는 처음 보는 것처럼 새초롬한 표정으로 강아지 발 흔들듯 앙증을 떤다. ‘어머머, 물이 이렇게 맑다니….’ 배 한편에서 손바닥으로 강물을 뜨는 여자 옆에 턱을 괴고는 넋 나간 사람처럼 보고 있는 친구가 순정과다. 어찌, 이렇게 고울 수 있지? 감히 손도 못 잡고 일거수일투족을 뚫어질 듯 바라본다.

조선이나 대한민국이나 사내 마음이 그리 진화했을 리 없으니, ‘룸살롱 사내 3종세트’도 여전히 유효하다. 신윤복의 <청금상련>을 보면 ‘3종세트’는 더욱 리얼해진다. 아까는 야외인지라 조금 낭만적으로 펼쳐졌지만, 이번에는 담장을 친 집안 뒷마당 연못가인지라 걸쭉해질 수밖에 없다.

‘껄떡남’은 여인을 허벅지에 앉히고 치마 수색하느라 난리가 났다. 갓과 탕건마저 벗어 던진 사내의 입에서 침이 흘렀는지 술이 흘렀는지 여자가 뺨 주위를 슬쩍 닦는다. 기생이 몸을 비틀자, 남자가 뒤에서 구시렁거린다. 조옴, 가만히 있어보라니깐! 둘째, 딴청남. 어김없이 여기에도 이런 남자가 있다.

관련사진

photo

제가 배정받은 여자는 놔두고 괜히 일어나 어슬렁거리며 껄떡남 노는 모양새를 완상한다. 이 사내의 버선발을 보라. 하나는 제 여자에게 잔뜩 가고 있지만, 다른 한쪽은 ‘껄떡’ 쪽으로 향해 있다.

제 짝이 우왕좌왕이니 여자는 ‘내가 싫은 게벼’ 하면서 장죽을 물고 연기 한줌을 뿜었다. ‘제 꼬락서니는 모르고 남 퇴짜 놓기는!’ 성깔이 좀 깔깔해졌다. 셋째. 순정남. 이번에는 가야금을 뜯는 여인과 눈이 맞았다.

죽부인에 기대앉아 생전 여자와는 ‘예술’밖에 같이 해본 경험이 없는 사람처럼 그윽한 눈길을 하며 담뱃대를 문다. 정말 가야금 연주 한번 기막히구나. 우리 내일 또 만날 수 있을까? 명함이라도 꺼낼 듯한 저 넋 나간 표정을 보라.

이 그림을 보며 상상력이 뛰어난 어떤 사람은 이렇게 말한다. 사실 이들 그림 속의 껄떡남은 바로 신윤복 자신이라고. 기생 불러 거시기할 음흉한 마음은 있으면서 괜히 딴 짓 하는 양반들을 비웃기 위해 자신을 출연시킨 것이라고…. 거참, 그럴 듯하다. 이런 룸살롱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 잡지사 부장인 여기자가 슬쩍 끼어든다.

“음, 여기는 여자가 끼어들 자리가 못 되는데….”

그러자 그 여기자는 한숨을 푸욱 쉬며, 룸살롱판에서 자신이 겪은 이야기를 털어놓는다.

“저는 말이에요. 정론직필(正論直筆)이라는 한자를 보면 소름이 돋아요.”

“희한하네. 이상한 알레르기가 다 있네? 기자가 정론직필을 무서워하면 쓰나?”

이렇게 핀잔을 주자 다시 한숨을 뿜는다.

“기자 초년병 시절 취재원들과 저녁을 먹다 길어져 룸살롱에 간 적이 있어요. 취재원 중 여과장이 하나 있어 안심하고 따라갔는데…. 다들 취한 상황에서 여자들이 들어와 갑자기 테이블로 올라가더니 춤을 추기 시작했어요. 처음에는 흥미 있게 봤는데, 갑자기 옷을 벗기 시작하더군요. 그러더니 그 중 한 명이 내게 다가와 직업이 무엇이냐고 물었죠. 나는 내 대답이 그의 행동을 자제시킬 수 있겠다 싶어 ‘저, 사실 기자예요’라고 말했어요. 그랬더니 그는 알았다고 하더니 갑자기 붓과 종이를 테이블에 올렸죠. 그러고는 거기에 붓 자루를 꽂더니 허리와 둔부를 움직여 큰 글씨로 ‘正論直筆’이라고 쓰는 게 아니겠어요? 정말 충격이었어요. 그런데 그가 내게 선물이라면서 글씨를 둘둘 말아 건네주더군요. 엉겁결에 받아 두었다가 돌아오는 길에 쓰레기통에 넣었어요. 그 뒤로 룸살롱 이야기만 나오면 치가 떨려요. 언젠가 한번 이 문제를 결정적으로 파헤치겠다고 다짐을 하기도 했죠.”

세상에…. 내가 해줄 수 있는 말은 아무 것도 없었다. 그 여기자의 마지막 말은 분명 ‘정론직필’에 대한 각오로 들리기는 했지만 말이다.

매거진 기사 더 많이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