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남북 정상회담 사전 비밀접촉서 합의문에 이견

중앙일보

입력

남북이 지난해 11월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가졌던 두차례 사전 비밀접촉에서 북핵, 국군포로와 납북자인도, 인도적 지원 등 3개 쟁점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고 조선일보가 1일 보도했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당시 북측 대표였던 원동연 통일전선부 부부장은 합의문 초안까지 준비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접촉은 11월 7일과 14일 두 차례에 걸쳐 개성의 한 여관에서 이뤄졌으며 우리측 참석자는 통일부 K국장 이었다.

당시 우리 측은 정상회담 합의문 첫머리에 '비핵화'란 단어가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북측이 '핵문제 진전' 수준의 표현만 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 역시 우리측은 대규모 송환을 요구했고, 고향 방문만 가능하다는 북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또 인도적 지원과 관련, 북측은 "이명박 정부를 어떻게 믿느냐"며 회담 전에 미리 지원해주거나 합의문에 명시해달라고 요구했으나 우리 측이 "퍼주는 모양새는 안 된다"며 반대한 것으로 조선일보는 보도했다.

한편 지난 1월 28일 이명박 대통령이 BBC와의 인터뷰에서 "연내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발언하면서 남북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뉴스룸 jdn@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