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에선 보통 사람도 트리즈 안다”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51호 24면

유리 다닐로브스키

GEN3파트너스 코리아의 유리 다닐로브스키(50.수석 건설턴트) 박사는 “삼성전자의 LCD TV.세탁기.로봇청소기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에 참여했다”며 “한국 대기업이 트리즈를 쓰는 이유는 그만큼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러시아의 트리즈 전문가인 그는 삼성전자(한국 근무)에서 트리즈 전문가로 직원 교육과 연구개발에 참여했으며 트리즈 전문 컨설팅 회사인 GEN3파트너스의 러시아 지사에서 근무했다. 그는 레닌그라드대학의 국방기술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지난해 12월 컨설팅을 위해 한국에 왔다. 다음은 일문일답.

러시아 트리즈 전문가 유리 다닐로브스키 박사

-트리즈를 간단히 설명하면 어떤 것인가.
“트리즈는 정형화된 시스템을 기초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는 것이다. 어떤 문제를 분석해서 기술적 모순이 있으면 40가지 발명 원리를 적용하고 물리적 모순이 있으면 분리(시간, 공간, 전체와 부분)의 원리를 적용한다. 이런 분석 시스템이 없다면 창의적인 생각을 해내기가 쉽지 않다.”

-40가지 발명 원리는 어떻게 나왔나.
“특허를 분석해 보니 공통된 원리가 있었다.”

-삼성전자가 트리즈를 도입한 이유는.
“삼성은 1990년대 후반부터 러시아 트리즈 전문가를 초청했다. 처음엔 시행착오가 많았지만 성과가 나기 시작하자 트리즈를 신뢰하게 된 것 같다. 삼성은 지금도 러시아 트리즈 전문가를 9명가량 고용하고 있다. 트리즈 전문 센터도 운영 중이다. 이곳에서 교육받은 사람이 수천 명을 넘어설 것이다.”

-트리즈가 기업에 왜 필요한가.
“트리즈는 기술뿐만 아니라 마케팅·경영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트리즈를 잘 적용하면 세 가지 효과를 볼 수 있다. 비용 절감, 상품 가치 제고, 특허 회피 등이다.”

-GEN3파트너스가 ‘오픈 이노베이션’ 사업을 하고 있는데.
“연구개발(R&D) 전 과정을 기업 내부에서 담당하는 폐쇄형 혁신이 아니라 외부 기술과 인력을 기업 R&D에 적극 참여시키는 것이다. 전 세계 과학자 8000여 명의 의견을 듣고 있으며 트리즈를 기반으로 한 고유한 방법론으로 기업 요구에 맞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왜 트리즈에 관심을 갖게 됐나.
“러시아에서 조명 관련 사업을 하고 있었다. 사업을 잘하기 위한 방법을 찾다 보니 트리즈를 공부하게 됐고 트리즈를 통해 향상된 기술도 얻게 됐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 특허가 70여 개에 달한다.”

-러시아에서 트리즈는 얼마나 알려져 있는가.
“보통 사람도 트리즈를 다 알고 있다. 트리즈만 전문으로 하는 교육기관이 모스크바 등 세 곳에 있다.”

-트리즈는 어떻게 배우나.
“일반 대학에도 트리즈 관련 학과가 있다. 하지만 전문적으로 트리즈를 배우고 싶다면 3개의 트리즈 전문교육기관으로 가야 한다. 보통 대학을 졸업하고 나서 10년이 지나야 상위 등급의 자격증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실무 프로젝트를 해야 한다.”

-한국 내 다른 트리즈 전문가와 교류는.
“삼성에 근무하고 있는 러시아 친구들을 주로 만난다. 6명 정도의 친구와 찜질방 같은 데서 만나 대화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