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세상] '해석된 정보' 숨쉬게 만들 것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소설가 안정효씨가 직접 겪었던 미국 언론 얘기는 인상적입니다.

영문(英文)소설 '하얀 전쟁' 을 현지에서 펴냈던 그는 10년 전 그곳 언론들과 연쇄 접촉을 갖게 됩니다.

뉴욕 타임스에만 두차례 서평이 나오는 호평에 이어 인터뷰차 LA타임스를 찾았다고 합니다.

엘리베이터를 막 내리니 편집국 복도 저쪽에 여러 명이 우 몰려 있어 안정효는 '뭔 일이 있구나' 싶었답니다.

웬걸, 그들은 베트남전을 다룬 작품을 발표한 제3세계의 신인 작가 한명을 마중나온 기자들이었습니다.

담당 기자와 서평팀 데스크는 물론 국제 담당 논설위원, 아시아 담당 국장 등 8명의 관련자들은 작가를 신문사 내 VIP식당에 모셔 점심식사를 겸한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정말이지 청문회가 따로 없었다는 그룹 인터뷰는 작품은 물론 한국의 정치, 문화에 관한 작가적 견해를 묻는 진지한 것이었다는 것이죠.

예고대로 서평 섹션 '행복한 책읽기' 를 발행하면서 바다 건너 외국의 서평 저널리즘 풍토를 환기시킨 것은 이유가 있습니다.

그것은 출판문화의 꽃인 작가와 책에 대한 사회적 존중이 그쯤은 돼야 한다는 부러움 섞인 판단 때문입니다.

따라서 '행복한 책읽기' 는 휘청거리는 형국의 우리 사회 책 문화의 중심축 역할을 맡을 것을 자임합니다.

목표는 '생각을 실어나르는 그릇인 책과 관련한 모든 지적 논의의 효율적인 멍석' , 바로 그것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과연 어떤 방식으로' 하고 물으실 겁니다.

쏟아지는 신간들에 대한 독립적인 시각에서의 선정, 이를 통해 무엇이 지식대중이 필요로 하는 어젠다인가를 읽어내려는 노력은 기본적 책무입니다.

일차적으로 그것은 '오늘 우리는 이 문제를 가지고 토론을 하려 합니다' 는 분위기가 물씬한 지면을 통해 가능할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무엇보다 '단순 소개' 방식을 넘어 '해석된 정보' 를 전달하는 리뷰가 중요하다고 판단합니다.

성실한 책읽기를 토대로 한, 책의 무게를 가늠해주는 리뷰란 독립성을 가진 기자의 깊숙한 가치판단 개입과도 상치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은 '첫 독자' 인 기자와 텍스트 사이의 마주침이 묻어나는 고품위 서평을 말합니다. 따라서 뭔가 정보는 있으나 막상 느낌은 실종된 서평은 '행복한 책읽기' 와 인연이 없습니다.

먼저 쓰는 게 우선이라는 식의 겉핥기 서평도 경계를 할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변화된 다매체 시대에 정보 여과기능이 강조되는 신문의 역할이자, 10부 능선의 저아래 3~4부 능선에 머물고 있는 국내 서평 저널리즘의 공통 목표이기도 할 것입니다.

그렇다고 허황한 엘리티즘도 경계하려 합니다. 물론 출사표 한번 던진다고 전투가 끝나거나, 빈혈증세의 출판계가 살아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새로운 출범과 함께 목표를 확인해보고 이를 다짐해보는 자세가 중요할 것입니다.

출판팀장 조우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