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 과학기술 ‘세번째 날개’ 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정부의 세종시 신안 발표를 하루 앞둔 10일 충남 연기군 금남면 첫 마을에 있는 세종시 간판 앞을 모자가 손을 잡고 걷고 있다. [김성태 프리랜서]

세종시가 우리나라 국제 과학비즈니스의 거점도시로 육성된다. 그동안 입주가 거론되던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에 더해 국제과학대학원과 첨단 융·복합센터까지 들어서는 등 기초과학 발전과 산업파급 효과를 더욱 키우려는 청사진이 나왔다.

교육과학기술부는 3조5000억원을 들여 세종시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를 건설하는 계획을 11일 발표했다. 김중현 제2차관은 서울 세종로 청사에서 이런 내용을 발표하면서 “세종시의 도시기반 계획이 완성돼 있어 당장 과학벨트 건설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과학기술계 입장에서 1960년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설립, 80년대 대전 대덕연구단지 건설에 버금가는 제3의 역사(役事)로 받아들여진다.

◆어떻게 조성되나=세종시 내 총 330만㎡(100만 평) 부지에 가칭 ‘세종국제과학원’을 건립하고, 그 산하에 기초과학연구원, 중이온가속기, 국제과학대학원, 첨단융·복합센터를 둔다. 세종시와 인근 대덕연구단지, 충북 오송·오창 첨단복합단지에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2015년까지 건립할 계획이다. 궁극적으로는 산·학·연 협력을 통해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과학벨트가 20년간 우리나라 경제에 212만여 명의 고용효과와 약 236조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낼 것으로 추정했다. 기초과학연구원은 실패 위험이 큰 장기적 기초기술 프로젝트를 주로 맡는다. 이에 소속된 연구 조직의 절반가량은 전국 대학과 연구소에 흩어져 개방적 연구시스템을 도모하게 된다. 중이온가속기는 원형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가속기와 달리 직선형으로 건설된다. 우주의 기원이나 신소재 탐구 등 기존 가속기로 하기 어려운 연구를 할 수 있다.

정원 1800명의 국제과학대학원은 우수 이공계 인재가 모여들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나 기반시설을 첨단으로 갖추기로 했다. 국제 거점을 지향하는 만큼 교수와 학생의 30%를 외국인으로 채울 계획이다. 첨단융·복합연구센터는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 역량을 모아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내는 중심센터로 육성한다. 상주 연구원을 가급적 줄이고 다른 연구소와 대학에서 파견 나온 객원 연구원 위주로 운영한다.

◆파급 효과=과학벨트는 세종시의 자족 기능을 상당 부분 채워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 연구 기능과 기업의 생산활동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신도시의 자생력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연구소나 대학에서 일궈낸 연구성과를 세종시 안에서 상업화할 수 있다. 대덕연구단지의 경우 뛰어난 연구 인력과 인프라를 갖추고도 지역을 선도할 만한 기업이 없다는 아쉬움을 남겨 왔다. 세종시의 경우 국내 유수의 대기업과 연구소·대학이 골고루 입주해 이런 부족함을 채워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벨트특별법(안)은 인센티브 조항이 있다. 도시 육성 지원체제와 외국인 투자자, 기업·연구소, 입주 외국인에게 경제자유구역 수준의 특례를 주도록 한 것. 기존 세종시특별법이 건설 관련 특례만 뒀다면, 과학벨트특별법은 건설과 향후 발전 과정까지 지원하도록 성안됐다. 교과부는 국회에 계류 중인 과학벨트 특별법(안)의 내용을 다듬어 조속히 통과하도록 힘쓰기로 했다. 교과부의 편경범 과학벨트추진단장은 “과학벨트는 최고 수준의 과학교육 기회와 최고 연봉을 받을 수 있는 지식산업 일자리를 만들어 낼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대덕특구 내 26개 정부출연연구기관장들은 이날 지지성명을 냈다. 이들은 “대한민국의 백년대계를 보고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차원에서 세종시를 교육과학 중심의 경제도시로 건설하려는 정부 방침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 사진=김성태 프리랜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