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 식욕억제제 3개월 이상 장기 복용 금지 당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비만치료를 위해 식욕억제제를 복용하는 경우, 비만의 특성이 단기간에 해결이 되지 않는 다는 점에서 장기 복용을 하는 이들이 많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윤여표)은 비만치료를 위한 식욕억제제는 반드시 복용 여부를 의사와 상담을 통해 결정할 뿐 아니라 치료제 복용지침 또한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식약청 자료에 따르면 비만치료를 목적으로 식욕억제제를 복용할 경우 혈압상승·가슴통증·불면·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며,특히 3개월 이상 복용한 경우 극도의 피로와 정신적 우울증이 나타나고 불면증, 정신분열증, 폐동맥 고혈압 등의 만성 중독 증상을 보이는 등 장기복용이 상당히 위험함을 밝히고 있다.

비만이란 몸에 지방이 필요이상으로 있는 상태로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만으로 효과가 없을 경우 비만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작용원리에 따라 식욕억제제와 지방분해 효소억제제로 나뉜다.

식욕억제제는 식욕을 느끼는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식욕중추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등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증가시켜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하거나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약으로서 의존성과 내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대다수가 마약류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4가지 성분 총 72개 품목이 마약류인 향정신성의약품으로 허가되어 집중 관리되고 있다.

지방분해 효소억제제는 음식물로 섭취한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를 차단하여 지방이 체내 흡수되지 않고 바로 배설되게 하는 오르리스타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약으로 복통, 복부팽만감 등의 위장관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한다.

식약청은 이처럼 비만치료를 위해서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식욕억제제의 복용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고 의사의 지시에 의하여 복용하는 것이 큰 부작용 없이 비만을 치료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비만이 아닌 분들이 체중조절을 하는 경우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사용하고 식욕억제제 복용은 피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식약청은 향정신성 식욕억제제 등 마약류의 과다·중복 처방을 집중 조사하여 마약류의 오남용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조인스닷컴 최은숙기자(choialth@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