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 '지리산 댐 백지화' 시민·종교단체 뭉쳤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중앙 및 지역에서 활동 중인 풀뿌리 시민단체들과 범 종교계가 정부의 지리산 댐 건설 계획을 백지화하기 위해 손을 잡는다.

전국 3백여개 시민사회.종교단체들이 뭉쳐 내달 중순 출범하는 '지리산 살리기 국민행동' 이 그것이다.

지리산 주변의 70여개 시민단체가 참여한 '지리산을 사랑하는 열린 연대' 를 주축으로 지리산 살리기 지역불교연대.기독교환경운동연대 등 다양한 종교계 단체를 망라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전국 각지에서 1백만명의 서명을 받고 정부의 지리산 자락 4곳의 댐 건설 계획을 철회토록 하는 게 1차 목표다.

◇ 댐 백지화 운동=환경 파괴가 우려되는 지리산 댐 건설 계획이 알려진 것은 지난해 12월. 정부가 낙동강 수질 관리대책의 일환으로 지리산 식수댐 건설 가능성을 내비치면서부터다.

정부가 밝힌 낙동강 일대 신규댐 후보지 14곳 중 4곳이 지리산 유역에 위치해 있다. 문정댐(경남 함양군 휴천면).천평댐(경남 산청군 시천면).안의댐(경남 함양군 서하면).비량댐(경남 산청군 생비량면)이 대상이다.

시민단체들은 지리산 댐 건설 계획이 반환경적이며 '언 발에 오줌 누기' 식이라고 보고 있다. 낙동강 수질 관리에 한계를 느낀 정부가 낙동강 수계 오염원을 적극적으로 차단하기 보다는 오염되지 않은 지리산 계곡수를 취수원으로 활용하려 한다는 것이다.

지리산 연대 양재성(梁在成.38)사무국장은 "댐을 건설하면 국립공원 1호인 지리산의 생태계와 수많은 사찰.문화재 등이 손상될 게 뻔하다" 면서 "낙동강을 살리는 게 아니라 사실상 지리산과 낙동강을 모두 죽이는 결과가 될 것" 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건교부 수자원정책과 안시권 사무관은 "댐을 건설해 낙동강 수량을 늘리지 않고는 수질 개선이 불가능하다는 일부 의견이 있다" 면서 "올 연말까지 민관합동조사단을 운영해 신규 댐 필요 여부와 댐 후보지 등에 대한 입장을 결정하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신규 댐의 필요성만 부각해 댐 건설을 밀어붙일 것이라고 우려한다.

◇ 댐 건설 위주의 수자원정책에 반대=지리산 살리기 국민행동은 댐 백지화 운동을 발전시켜 정부의 현 수자원정책 기조를 근본적으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보고 있다.

댐 건설 위주의 수자원정책이 바뀌지 않는 한 지리산 댐이 백지화되더라도 또 다른 산과 계곡에 댐이 건설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리산 살리기 국민행동은 올 가을부터 '낙동강 수질개선 정책토론회' 등을 열어 댐을 짓지 않고도 낙동강을 살릴 수 있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겠다는 의욕을 보이고 있다.

성시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