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F 최대 화두는 남북화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제7차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지역안보포럼(ARF) 외무장관 회의의 초점은 남북 문제가 될 것이라는 게 외교통상부 관계자들의 전망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정치와 안보 현안을 다루며 회원국간 신뢰구축 기반을 다지기 위한 ARF 외무장관 회의 목적상 남북 정상회담과 6.15 공동선언 이후 국제외교 무대의 최대 관심 사안으로 떠오른 한반도 문제가 부각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정빈(李廷彬)외교통상부장관은 회의에서 남북 정상회담에 따른 남북관계 진전을 설명하고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ARF 회원국의 지지와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다.

또 23번째 회원국으로 가입이 확실시되는 북한의 백남순(白南淳)외무상도 이번 회의에 참석해 남북 정상회담 이후 관계 진전에 대한 북한의 입장을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남북 외무장관이 한 국제회의에서 머리를 맞대고 한반도 문제 등을 논의하는 그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

남과 북은 그동안 한반도 문제 해결만을 위한 '4자회담' 을 제외하고는 다자회의에서 자리를 함께 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또 李장관과 白외무상은 ARF 외무장관 회의 전날인 26일 역사상 최초로 남북 외무장관 회담을 열고 국제외교 무대에서의 남북한 공조 및 협조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그래서 이번 ARF 외무장관 회의가 국제외교 무대에서 '대립과 갈등' 으로 점철했던 남북이 '화해와 협력' 의 시대를 여는 시금석(試金石)이 될 것이라는 게 외교부 관계자의 분석이다.

이 관계자는 "이번 ARF는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관계 진전을 국제사회에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계기" 라며 "남북 외무장관 회담을 위한 사전접촉 과정에서 보여준 북측 태도로 미뤄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밝혔다.

ARF 외무장관 회의의 의제는 ▶한반도를 포함한 아시아.태평양지역 정세▶세계화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소형무기와 해적.불법이민과 같은 초국가적 범죄에 대한 대처 방안 등이다.

이철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