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냉장고 덕… 여름에도 김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9면

결혼 10년차인 유현옥(39.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주부는 푹푹 찌는 삼복더위를 며칠 앞두고 배추 20포기를 들여다가 김치를 담갔다.

배추 20포기는 보통 유씨가 겨울철에 담그는 김장의 절반에 해당하는 양. 식구가 갑자기 는 것도 아니고 집안 잔치가 있는 것도 아닌데 한 여름에 김장수준의 김치를 담그기로 한 것은 지난달 김치냉장고를 장만했기 때문이다.

가족이라곤 남편과 외아들밖에 없는 김영미(35.서울 서초구 방배동)주부도 3년전 겨울 김치냉장고를 장만한 후론 한꺼번에 많은 김치를 담가두고 먹는다.

특히 장마를 앞두고 배추값이 뛸 것에 대비, 아예 김장을 해 여름내내 김치 걱정없이 보내고 있다.

김치냉장고가 주부들의 인기를 얻으면서 여름에도 김장을 담그는 새로운 풍속이 생겨나고 있다.

여름 김장의 장점은 식재료가 쌀 때 담가 김치가 '금(金)치' 가 되는 것에 대비할 수 있다는 것.

최근 이러한 현상은 김치냉장고 구입 열풍으로 이어져 일부 인기제품은 때아닌 품귀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딤채' 란 브랜드로 김치냉장고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만도공조㈜의 경우 지난달부터 주문이 몰려 1주일 정도 기다려야 제품을 받을 수 있다.

이 회사 마케팅팀 김종우 과장은 "김장철이 아닌 한여름에 품귀현상이 나타난 것은 처음" 이라며 "소비자들이 빨리 제품을 받을 수 있도록 생산라인을 풀가동하고 있다" 고 말했다.

후발업체인 삼성.LG.청호.대우캐리어 등도 판매량이 늘어 업계에서는 전체 시장규모가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유현옥 주부는 "김치냉장고가 있으면 배추나 양념값이 쌀 때 많이 담그는 것이 시간이나 비용 면에서 훨씬 경제적" 이라며 "앞으로는 김장이란 단어가 1년내내 보편적으로 쓰일 것같다" 고 말했다.

유지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