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론 여야 동시 제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나라당 김덕룡(金德龍·서울 서초을)·민주당 송석찬(宋錫贊·대전 유성)의원은 11일 국회 본회의 대정부질문에서 "민주화와 여야 정권교체가 이뤄진 이상 대통령 5년 단임제의 현행 헌법을 개정해야 한다" 며 개헌론을 제기했다.

이들 여야 의원은 "책임정치 구현과 권력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통령제 4년 중임제로 바꿔야 한다" 며 "올해 안에 개헌논의를 시작해 내년에 완료하자" 는 개헌일정을 제시했다.

한나라당 손학규(孫鶴圭·광명)·민주당 문희상(文喜相·의정부)의원 등도 "헌법 제3조의 영토 조항에 대한 개정논의가 있어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한동(李漢東)국무총리는 "헌법 제3조의 개정 문제는 남북관계의 진전을 봐가며 그때그때 신중히 대처할 문제" 라고 답변했다. 李총리는 권력구조 개편에 대해서는 "국회에서 논의할 문제로 총리로서 견해를 밝히는 게 적절치 않다" 고 말했다.

국가보안법 개정·폐지에 대해 민주당 임종석(任鍾晳·서울 성동)의원은 폐지를 주장했으나 같은 당의 정동영(鄭東泳·전주 덕진)·문희상 의원 등은 단계적 폐지 또는 부분개정 입장을 밝혔다.

손학규 의원은 "불고지죄·고무찬양죄는 폐지하는 대신 가칭 남북관계기본법을 새로 제정하자" 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재규(朴在圭)통일부장관은 "우리 국력과 북한의 대남정책 변화를 고려해 보안법 개·폐 문제를 추진할 것" 이라고 답변했다.

김정길(金正吉)법무부장관은 "외교경로를 통해 이석희(李碩熙)전 국세청차장 등 5명에 대한 범죄인 인도 청구서류를 지난 2월 미국 법무부에 제출했으며 현재 미 법무부의 내부 절차가 진행 중" 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이인기(李仁基·칠곡)의원은 "중앙일보의 '북한 노동당 규약 먼저 개정' 보도를 이유로 청와대가 해당사 기자의 출입을 정지시킨 것은 언론 길들이기" 라고 비판했다.

전영기·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