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정부 9일 재협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은행 총파업을 둘러싼 노·정(勞·政)간 첫 공식 협상이 일단 결렬됐다. 그러나 노·정은 9일 2차 협상을 하기로 합의, 막판 대타협의 여지를 남겼다.

시장의 압력에 따라 파업 대열에서 이탈하는 은행들도 늘어나고 있어 파업이 강행되더라도 강도는 예상보다 약화될 전망이다.

금융산업노동조합은 7일 열린 정부와의 협상에서 ▶관치금융 청산▶관치금융으로 인한 은행부실을 정부가 처리▶정부 주도 합병 추진 반대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정부는 ▶금융지주회사법 제정 강행▶공적자금 투입은행의 구조조정은 정부가 주도하겠다는 등 기존 입장을 확인, 노조측과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정은 7일 오전 은행회관에서 김호진(金浩鎭)노사정위원장이 배석한 가운데 이헌재(李憲宰)재정경제부장관·이용근(李容根)금융감독위원장 등 정부 대표 4명과 이용득(李龍得)금융노조위원장 등 노조 대표 4명이 모여 첫 공식 협상을 했다.

이용근 금감위원장은 협상이 끝난 후 "다시 만나기로 합의한 데 의미를 찾아달라" 고 말했다. 금감위 고위 관계자는 "노조의 요구가 분명히 드러난 만큼 정부 입장을 조율해 9일 재협상에서는 합의점을 찾는 데 주력할 것" 이라고 밝혀 막판 타협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금감위는 이날 파업 강행시 노조측의 전산실 장악을 막기 위해 소속 검사역들을 파업 참가 은행에 보내 전산시설 비상점검에 나섰다.

한편 이날 수협이 파업 불참을 공식 선언한 데 이어 주택·국민은행이 파업 중 정상영업할 방침을 밝혔다.

당초 파업 참가를 결의했던 주택은행은 이날 투표 결과 파업 찬성 조합원이 전체(1만2천3백명)의 3분의1인 4천6백39명에 불과한 데다 퇴직 직원 1천여명 및 본점 직원 5백여명을 지점에 파견, 파업기간 중에도 정상영업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은행 역시 전산부서 직원을 자회사 직원으로 대체하고 총 5천여명의 대체인원을 확보, 파업 때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이정재·신예리·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