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일부약국 생보자에 약값 '덤터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관절염을 앓고 있는 文모(75.전주시 완산구 평화동)씨는 1종 생활보호 대상자라서 그간 보건소 등에서 공짜로 치료받고 약도 탔다.

그러나 의약분업이 시작된 뒤 상황이 달라졌다. 지난 1일 보건소에서 진료받고 처방전을 받아 동네 약국을 찾아가니 약값을 요구했다. 생활보호 대상자 증명서를 보여줘도 약사는 "잘 모르는 일" 이라고 고개를 저었다.

文씨는 "국민 건강을 위해 실시하는 의약분업으로 우리같은 사람들은 더 나빠졌다" 며 분개했다.

일부 약국들이 생활보호 대상자들에게까지 약값을 받아 이들 대상자들이 의약분업 후 오히려 피해를 보고 있다.

4일 전북도에 따르면 생활보호대상자 12만여명 중 1종 2만5천여명은 병.의원과 보건소를 이용할 때 진료비와 약값이 모두 무료다. 2종 4만2천여명은 약값으로 5백원만 내면 된다.

또 이 생활보호 대상자들은 대부분 병.의원을 찾기 보다는 보건소를 이용, 의약분업 실시후 원외 처방전을 받아 약국을 찾고 있다.

그러나 일부 약국이 생활보호 대상자에 대한 의료혜택 규정을 모르거나 당국이 단속하지 않는 틈을 타 일반인과 똑같이 약값을 받고 있다.

朴모(70.전주시 완산구 완산동)씨는 "약값을 요구하는 약사와 30여분 동안 말다툼을 벌이다 결국 2천원을 줬다" 고 하소연했다.

약사들은 "생활보호 대상자들에게 무료로 약을 준 뒤 보험공단 등에 청구할 수 있는 제도가 아직 정비되지 않아 약값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고 밝혔다.

전북도 관계자는 "현재는 의약분업 계도기간이라서 단속을 못한다" 며 "다음달 의약분업이 본격적으로 실시되면 단속, 생활보호 대상자들이 약값 걱정을 않도록 하겠다" 고 말했다.

전주〓서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