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방학 한자 공부 어떻게 하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열심히 외워도 조금만 시간이 흐르면 까먹기 일쑤인 한자공부. 겨울방학 동안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은 없을까? 해피펀펀한자 박건호 소장은 “급수시험에 연연하기보다 자신의 실력과 학년에 맞춘 목표를 세우는 것이 좋다”며 “영어처럼 한자도 처음에 기초를 튼튼하게 쌓아야 고학년이 되어도 실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214개 부수와 40여개의 기본자

한자 공부를 할 때 가장 먼저 시작해야 할 부분은 부수·기본자 암기다. 부수·기본자는 한자구성의 기본원리가 되는 글자를 말한다. 한글로 치면 자음과 모음, 영어로 치면 A, B, C와 같은 알파벳에 해당하는 핵심 내용이다.

부수·기본자를 암기하는 데도 요령이 있다. 박 소장은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부수자 암기의 비효율성을 지적했다. 3획·4획 같은 획수를 기준으로 부수를 외우면 글자간 연계되는 의미가 없어 이해하기도 어렵고 잊어버리기도 쉽다는 설명이다.

주제별로 묶은 부수자 학습은 획수를 기준으로 하는 암기보다 기억이 오래간다.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는 부수자가 손·발·입 같이 신체와 관련돼 있어요. 이것만 익혀도 한자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답니다.”

한자는 214개의 부수자와 40여개의 기본자를 합해 총 250개 남짓의 뼈대로 구성돼 있다. 겨울 방학 동안 이것을 암기하면 한자의 기초를 단단하게 다질 수 있다. 한자 급수 시험 준비에도 유용하다.

높은 급수일수록 외워야 할 부수자와 기본자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나라 국(國)은 8급수에 해당하지만, 이 글자 속에 숨어 있는 창 과(戈)는 3급수에 등장하는 글자에요. 부수자만 외워도 저절로 높은 급수시험을 준비하게 되는 셈이죠.”

한자 공부도 기본원리 파악이 우선

겨울방학 동안 한자 학습 목표를 세울때는 초등학교 저학년은 부수·기본자 암기 위주로, 고학년은 암기한 부수·기본자를 활용해 교과학습과 연계하는 선이 적절하다. 욕심으로 무리하게 높은 급수의 시험을 준비하는 것은 금물이다. 한자에 대한 호기심과 재미를 오히려 떨어뜨릴 수 있다. 박 소장은 “급수시험은 한자에 대한 관심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외운 내용을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며 “한자가 실생활에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교과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어와 연계해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매일 일정 시간을 한자 공부시간으로 정한 뒤, 부수·기본자 암기부터 시작한다. 흥미유발을 위해 손·입·발처럼 그림값이 같은 글자군을 정리하게 한다거나 익히게 해 기초를 확실하게 다진다. 각 기본자를 조합하면 보다 복잡하고 새로운 글자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깨닫는 과정도 중요하다. 응용력과 추리력을 기를 수 있다. 익숙해지면 스스로 글자들을 조립해 만들거나 복잡한 글자는 분해하면서 한자의 조합원리를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그는 “한자 학습은 한문공부도, 중국어공부도 아닌 한글심화학습”이라며 “천편일률적인 천자문식 학습 대신 기본 원리부터 파악하는 학습을 시작하면 장기적으로 실력이 쌓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설명]박건호 소장은 “대부분의 학습용어는 한자어로 이뤄져 있어 이를 공부하는 것은 성적향상과도 직결된다”고 말했다.

< 이지은 기자 ichthys@joongang.co.kr >

< 사진=김경록 기자 kimkr8486@joongang.co.kr >


초등 겨울방학 한자공부, 이렇게 해보세요

1주
부수·기본자 익히기
: 영어의 알파벳을 외우듯이 한자어의 기본인 부수자 전체와 기본글자를 익히도록 한다.

2주
분해 연습
: 이미 알고 있는 한자를 여러 조각으로 나눠 부수·기본
자를 찾는 연습을 한다.

3주
조립 연습
: 이미 알고 있는 한자를 더해 복잡한 글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한다.

4주
교과 연계 학습
: 배운 한자로 단어를 만들고(①) 실제 교과서에 등장하는 단어의 정확한 뜻을 살펴본다(②).

재미있게 한자공부하는 법
① 영어의 알파벳을 외우듯 기본자·부수자를 상을 걸고 외워보세요.
② 자신의 실력보다 한 단계 낮은 한자능력시험을 준비해보세요.
③ 새로운 한자 어휘를 학습한 뒤, 국어사전에서 복습하세요.
④ 교과서에 나오는 단어의 뜻을 공부한 뒤, 단어 아래에 한자로 적어보세요.
⑤ 생활 속 한자단어 속에서 기본자·부수자를 찾는 습관을 들이세요

※도움말 : 해피펀펀한자연구소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