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경색속 경기 상승세 지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시중 자금경색에도 불구하고 실물경기가 완만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경기 선행지수는 올들어 계속 떨어지고 있어 이같은 상승국면이 얼마나 지속될지 주목된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5월 중 산업활동 동향' 에 따르면 생산은 지난 해 같은 달에 비해 20.0% 증가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인 81.0%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이에 대해 올 5월은 지난해 같은달보다 조업일수가 하루 길었던 데다 지난 4월 자동차 파업 때 생산차질을 메우기 위해 자동차업체들이 생산을 늘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통계청은 이들 요인을 제거할 경우 지난달 생산증가율은 18.5%,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9.6%에 머물러 경기 상승속도 둔화추세가 이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소비를 보여주는 도.소매 판매는 지난 해 같은 달보다 14.3% 늘어났고, 설비투자도 32.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정보통신 분야의 투자가 둔화돼 지난달(40.6%)에 비해서는 낮았다.

건설수주는 민간주택 발주가 활기를 띠면서 20.3%의 증가세로 돌아섰다.

현재의 경기국면을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 변동치는 전달보다 0.1포인트 증가한 98.0을 나타냈다.

박화수(朴華洙) 통계청 경제통계국장은 "선행지수가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기가 정점을 지났는지는 아직 더 두고봐야 한다" 며 "제조업 가동률 등을 볼 때 아직 생산이 더 늘어날 여지는 충분한 상태" 라고 밝혔다.

홍순영(洪淳英)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실물 지표상으로는 경기가 완만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며 "자금경색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하락하지 않는 것은 돈가뭄 현상이 일부 중견그룹에 머물고 중소기업 등으로 폭넓게 확산하지는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고 분석했다.

서경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