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뉴타운 23곳 전세대란 없게 개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2007년 3월 경기도의 첫 뉴타운 사업지구로 지정된 부천시 소사구 소사동 일대. 1980년대 초반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해 생겨난 동네다. 경인국도변에 있어 서울 인근에 저렴한 집을 마련하기 위해 이주한 사람들이 주로 정착했다. 현재 3만100여 가구에 9만200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이들은 뉴타운사업이 본격 추진되는 2012년 이전에 모두 떠나야 한다. 40%는 재입주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부천은 물론 인근 광명·시흥·김포에서도 뉴타운사업이 추진될 예정이어서 벌써부터 전셋집 구하기가 만만치 않다. 뉴타운사업은 집이 낡고 오래된 서민주택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시행되기 때문에 원주민들이 서울 등지에 집을 마련해 이사하기가 쉽지 않다. 주민 황진상(49·소사동)씨는 “주변 도시의 전셋값이 껑충 뛰어오른 데다 그나마 물량이 바닥났다”며 “네 식구가 어디로 이사 갈지 막막하다”며 애를 태우고 있다. 소사 뉴타운은 보상과 이주가 끝난 공장용지와 나대지 구역부터 10월 공사에 들어갔다.

경기도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뉴타운 주거안정 대책’을 마련했다. 김문수 지사는 23일 “뉴타운 원주민을 근처의 공공 국민임대주택과 보금자리 주택, 다가구 매입주택 등으로 먼저 이주시킨 뒤 재개발 공사에 들어가는 순환형 정비방식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주민들이 한꺼번에 몰려 생겨나는 전세 대란을 최소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따라 소사 뉴타운사업은 2011년까지 총 이주물량 3만192가구의 18%인 5555가구, 2012∼2013년에 1만262가구(34%), 2014년에 나머지 1만4375가구(48%) 등을 확보한 뒤 3단계로 진행된다. 경기도는 내년 중 1단계 이주대상 가구를 위해 범박동 임대단지와 주변 임대주택 등을 통해 이주주택 4000가구를 확보할 예정이다.

현재 경기도에서 추진 중인 뉴타운지구는 12개 도시에 23곳이다. 이주 대상 주민은 30만여 가구, 93만7000여 명으로 추산된다. 이 중 뉴타운 조성사업 시행 초기인 2012~2013년에 10만1436가구가 이주해야 한다. 나머지 20만736가구는 2014년 이후 이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경기도는 뉴타운지구 이주민들이 기존 생활터전에서 멀리 벗어나지 않는 점을 감안해 사업지구 반경 15㎞ 이내 범위에서 주택을 공급해 이주시킨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서남부권(부천·광명·안양·군포·시흥) ▶서북부권(김포·고양) ▶동북부권(의정부·구리·남양주) ▶남부권(오산·평택) 등 4개 권역으로 나눠 이주대책을 세우기로 했다.

경기도 이춘표 뉴타운사업과장은 “이주 주택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내년에 경기도시공사와 협의해 100억원을 마련하는 한편 정부에 이주 주택공급 예산을 지원받을 수 있는 도시재생 관련 법안 제정을 적극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4년 이후 이주하는 주민들은 초기 개발사업이 마무리된 뒤여서 주택에 여유가 생겨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경기도는 보고 있다. 부천·광명 등 4개 지구를 제외하고는 2020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김문수 지사는 “뉴타운사업지구 선 이주 후 사업시행은 개발 때문에 이주해야 하는 주민에게 주거안정과 함께 더 나은 주거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