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호변은 거대한 쓰레기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자연경관이 수려한 충북 제천시 청풍면 도하리 충주호의 나루터. 모 휴양콘도와 인접해 있다.

물의 흐름이 느린 부분이라 장마철만 지나면 상류에서 흘러내려온 부유(浮遊) 쓰레기로 호숫가 주변이 온통 쓰레기장이 되고 만다.

쓰레기 유입이야 어쩔 수 없다지만 주민들이 정말 이해할 수 없는 것은 1년 전에 쓰레기를 모아 놓고도 여태껏 치우지 않는 당국의 배짱이다.

이처럼 군데군데 쌓아놓은 부유 쓰레기 더미는 제천 11곳, 충주 4곳, 단양 2곳 등 모두 17곳으로 호수경관을 크게 해치고 있다.

충주호 쓰레기 처리를 놓고 수자원공사와 3개 자치단체가 해마다 줄다리기를 하는 바람에 쓰레기가 방치되고 있다.

더욱이 장마철을 앞두고 처리방법에 대한 협의가 안돼 올해도 부유 쓰레기로 호수 주변이 몸살을 앓을 것으로 우려된다.

현재 충주.제천.단양 일대에 마대 또는 자연상태로 쌓여있는 부유 쓰레기는 모두 7천6백81㎥(수자원공사 자체 파악). 이중 썩은 나무토막 등 초목류는 5천9백9㎥고 나머지 스티로폼.페트병 등 시.군이 매립 처리해야 할 일반 쓰레기는 1천7백72㎥다.

지금까지 수자원공사는 초목류의 경우 현장에 설치한 간이 소각장에서 처리하고 일반쓰레기는 시.군에 위탁처리해 왔다.

그러나 3~4년전부터 부유 쓰레기가 크게 늘어나면서 일반쓰레기의 처리비 부담이 골칫거리로 등장했다.

수자원공사는 자치단체 조례상의 일반쓰레기 수거비용보다 3천원 적은 ㎥당 1만5천원을 고집해 왔다.

3개 시.군은 1998년까지는 수자원공사의 주장대로 처리했으나 매립장 확보난을 감안해 인건비와 매립장 및 장비 운영비를 반영해줄 것을 요구, 14만4천7백원 정도를 제시했다.

거듭된 협상이 무산되자 3개 시.군은 올해 충북도의 조정안대로 처리비용을 낮춰 ㎥당 6만3천원으로 규정한 조례를 제정했거나 제정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수자원공사는 이마저 난색을 표하고 있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충주댐에서 발생하는 모든 쓰레기 처리비용을 부담하는 것도 곤란하지만 매립장 조성비까지 요구하는 것은 무리" 라며 "그러나 합리적인 선에서 비용을 부담할 용의는 있다" 고 말했다.

제천〓안남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