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대중화 시대 무선 인터넷 통한 사이버 테러 대비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5면

임종인(53·사진) 고려대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장이 이달 초 한국정보보호학회장으로 선임됐다. 국내 보안 문제의 대표적 전문가라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행정안전부와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한국인터넷진흥원의 자문위원이고, 금융보안연구원 보안전문기술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신임 임 회장은 “디지털 시대에 사이버 범죄는 상상을 뛰어넘는 큰 위협”이라고 강조했다. 해킹의 경우 개인과 기업에 경제적 피해를 주는 건 물론 국가 존립을 흔들 정도로 파괴력이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은 삶의 질을 높이고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의 자유를 만끽하게 하지만 그만큼 범죄에 악용될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7·7 디도스(DDoS, 분산 서비스 거부) 사이버 테러’는 국가적 차원의 온라인 보안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 계기였다. 그는 “전국 곳곳에 깔린 유선 인터넷망과 주요 시설이 거미줄처럼 연결된 데다 스마트폰 대중화로 무선 인터넷망을 통한 해킹이 쉬워졌다”고 우려했다. 해킹도 일부 해커의 장난 수준을 넘어 국가나 집단 간 조직적인 사이버 전쟁의 조짐까지 보인다.

임 회장은 “정보보호학회가 앞으로 국가 사이버 보안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금융계와 손잡고 온라인 뱅킹의 보안 문제 대책을 논의하고, 포털업계와 공동으로 개인정보 보호 등 포털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를 추진하기로 했다. 그는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에는 유선망에 머물던 사이버 테러가 무선으로까지 확대될 것이기 때문에 하루빨리 국가 사이버 보안시스템을 관리할 전담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 등 선진국은 이미 국가 사이버 보안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그는 “미국의 안보 주무 부처인 국토안전부는 공공기관의 사이버 보안 기능을 통합한 NCCIC라는 기구를 지난달 출범시켰다”고 소개했다.

임 회장은 “우리나라는 정부나 기업이 디지털 산업을 키우는 데만 급급하고 사이버 보안 대책을 소홀히 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전력과 정보기술(IT)을 접목한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지능형 전력망) 국가 프로젝트’를 예로 들었다. 그는 “스마트 그리드가 확산된 뒤 전력 공급 중단이나 통제권 상실 등 사이버 위협으로 인한 피해는 엄청나게 커질 텐데 이에 대한 아무런 대책이 없다”고 말했다.

이원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