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째 맞는 철도파업 균열 조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전국철도노조 파업 일주일째인 2일 시멘트를 제때 공급받지 못한 경기도 수원시의 한 레미콘 공장에 차량들이 줄지어 대기하고 있다. [수원=뉴시스]

철도노조 파업에 정부가 엄정 대응 방침을 밝히자 노조가 2일 종교계와 시민단체 등에 노사 간 대화 중재를 요청했다. 또 파업에 참여했다 업무에 복귀하는 조합원이 1000여 명을 넘어서는 등 파업 대열에도 균열이 생기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원칙을 지키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노조에 파업 손실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을 묻고, 기관사 3000명을 양성해 만성적인 파업에 대비하기로 했다.

철도노조는 이날 ‘조건 없이 대화합시다’라는 성명서를 통해 “정당이나 종교계·시민단체 등이 노사 간에 단절된 대화의 장이 마련될 수 있도록 나서 달라”고 호소했다. 또 “대화의 장이 마련된다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파업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코레일(철도공사) 측은 노조의 진정성에 의문을 표시했다. 공사 측은 “노사 간 교섭을 재개하려면 먼저 파업부터 풀어야 한다”며 “정부의 전방위 압박과 여론의 외면을 받자 코너에 몰린 노조가 상황 반전을 꾀하는 것”이라고 평가절하했다. 노조가 허준영 사장 등 간부 60여 명을 부당노동행위 혐의로 고소·고발한 것도 교섭 재개 의지를 의심케 한다며 파업 주동자 12명에 대한 징계에 착수했다.

정부의 노조에 대한 압박 수위는 높아졌다. 이귀남 법무부 장관은 “철도노조가 불법 파업을 지속할 경우 법과 원칙에 따라 노조에 민·형사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해양부는 철도의 불법 파업 등에 대비해 철도공사 간부 2000명과 군인 1000명 등 대체 기관사를 추가로 양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공사에 따르면 파업에 참여했다가 복귀한 조합원이 점차 늘어나 1156명에 이른다. 공사 관계자는 “파업이 일주일째 장기화하면서 앞으로 복귀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공사 측은 복귀자가 늘어남에 따라 하루 76편 정도 운행하던 화물열차를 3일부터는 86편으로 늘릴 계획이다.

하지만 물류난은 심화하고 있다. 수도권 물류기지인 의왕컨테이너기지(ICD) 인근의 시멘트 공장 7곳은 이미 재고가 바닥나 가동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장정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